우주산업의 로켓에 올라타라 - 뉴 스페이스 시대의 비즈니스 전략
조동연 지음 / 미래의창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로 향하는 대한민국


마침내 국내 과학기술의 힘만으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었다. 비록 마지막 관문을 넘지는 못했지만 의미 있는 성공을 거두었다는 평이다. 이로써 이제 우리나라도 뒤늦게나마 우주 개발의 장에 뛰어든 셈이다. 또한 지난달에는 ‘에어택시’로 불리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의 시연이 이루어졌다.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육상 교통수단과 연계가 가능한 UAM은 2025년부터 상용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블루오션, 뉴 스페이스 시대의 개막

이러한 새로운 우주시대의 개막에 맞춰 미래국방기술창업센터장인 조동연 교수가 『우주산업의 로켓에 올라타라』를 통해 우주공간을 국가안보, 경제, 기술의 시각에서 조명하고 있다. 저자는 그동안 국가와 군 주도로 이루어져왔던 우주 개발이 이제는 스페이스X와 같은 민간 기업들의 활발한 참여와 투자로 우주의 상업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실제로 지난달 스페이스X는 4명의 우주인을 무사히 귀환시킨 지 이틀 만에 비행사 4명을 다시 우주로 보냈다. 이로써 인간이 우주에 대한 여정을 시작한 지 60년 만에 우주인 6백 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블루오리진과 영국의 버진갤럭틱도 우주 관광에 성공했다.


우주산업은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자율주행,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하여 인공위성과 로켓, 우주 관광뿐만 아니라, 항공모빌리티, 우주 인터넷, 우주 쓰레기 처리 등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며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처럼 우주 공간에서 대규모의 블루오션이 열리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우주산업은 그야말로 무한대의 성장이 가능한 비즈니스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은 우주산업에 있어서 아직은 걸음마 단계에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 막 도래한 뉴 스페이스 시대를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기술, 경제, 국가안보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아울러 글로벌 우주항공 기업뿐만 아니라, 현대자동차, 한화와 같은 국내 기업들이 우주산업의 각 분야에 어떻게 진출하고 있는지, 그 한계와 가능성은 무엇인지 설명하면서 우주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지식과 함께 다양한 우주산업 기업들에 대한 투자 정보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이제 우주가 우리의 삶에 한층 가까이 다가왔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 북코스모스 대표 최종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