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부대 - 2015년 제3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 뉴스를 읽는다. 그리곤 밑에 달린 댓글도 살핀다.

다른 사람들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니까.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인터넷 공간을 찾는다.

누군가 별 대가도 없이 자기 지식과 의견을 나눠주는 곳.

참 고맙기도 하지. 인터넷이 없으면 어쩔 뻔했어.

어디 그뿐인가.

비슷한 취미나 관심을 가진 사람들끼리 꽤 진지한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때론 시시콜콜 수다도 떠는 곳.

 

그러나....

언제부턴가 이곳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본다.

혹시 댓글알바?

 

지난 대선때 국정원과 여러 국가기관들이 

댓글로 여론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었다

소설은 국정원 부정선거개입 사건을 모티브로 삼고 있다.

-알렙이란 사설 댓글부대를 섭외해 임무를 맡기고 대가를 지불한다.

특정 사이트를 목표로 삼아 분열을 일으키고 무너뜨리는 과정을 보여준다

여론조작 수법이 점점 더 교묘하게 진화해간다.


작가는 어디까지나 자신이 상상한 허구라고 에둘러 말하고 있지만

너무나 구체적이라 실제인지 허구인지 착각을 일으킨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진행되고 있거나,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보고있는 거 같아 불길한 느낌마저 들게 한다.

 

소설을 읽으면서 잠시 생각해본다.

사이버공간에서 난 누구와 얘기를 한 걸까

 

독일 나치의 2인자이며 선전술의 귀재인 괴벨스는

세뇌를 목적으로 국민들에게 라디오를 나눠줬다.

그리고 이렇게 말한다.

 

누가 나에게 아무거나 한 문장만 달라. 어떤 것도 진실이라 믿게 만들겠다.

첨 들으면 믿지 않더라도 열 번을 들으면 흔들리게 되고

백번을 들으면 믿게 된다.

99%의 거짓과 1%의 진실을 섞으면 더 효과적이다.

 

소설 속에서 댓글부대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은 

단순한 여론조작 차원을 넘어 그들이 의도한대로 

국민들이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는 거처럼 보인다.

더 쉽게 지배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서.

 

인터넷을 어떻게 쓰냐에 따라 선한 도구가 되기도 하고

파괴적인 무기가 될 수도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같은 물이라도 소가 먹으면 우유가 되고 뱀이 먹으면 독이 되는 것처럼.

 

소설을 읽고 나서 인터넷 댓글을 유심히 살펴본다.

지금, 댓글을 달고 있는 이 사람들은 누굴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