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이 사라지고, 그곳이 살아나고 - 인문지리로 읽는 우리 주변의 공간들
천종호 지음 / 역사비평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리교사이자 지리학자인 저자는 이 책에서 수많은 답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가 다닌 곳곳에 따스한 숨결을 불어놓고자 하였다. 그 점에서 저자가 갖고 있던 아쉬움, 곧 다른 학문 분야와 다르게 지리학에서는 전문적인 내용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한 책을 발간하지 못한 점(6)은 이 책을 통해 상당 부분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이 책은 쉽게 읽힌다. 그렇다고 내용이 가벼운 것도 아니다. 그 장소가 과거부터 근대, 그리고 산업화 시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떤 변천을 보이고 있는지 압축적으로 잘 설명되고 있다. 또 많은 사진은 그 장소로 떠나게끔 만드는 충동을 불러일으킨다.

 

그동안 쓴 여러 칼럼들을 모아냈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는데, 1부에서는 돌산에서 갯벌, 호수에서 농어촌까지 한반도의 자연과 그 자연을 바탕으로 한 마을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 2부에서는 성곽에서 왕릉, 향교와 서원, 궁궐에서 폐사지 등 역사 유적지의 영욕을 접할 수 있다. 3부에서는 구로공단이 구로디지털단지로 바뀌어간 모습, 산촌의 활기를 불어넣던 탄광촌이 쇠락했다 새롭게 바뀌어가는 모습 등 고도성장과 개발독재의 피와 땀이 서린 장소가 눈에 들어온다. 끝으로 4부에서 우리는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서의 장소 변화를 접할 수 있다.

 

수많은 장소를 돌아보면서도 저자는 나름의 시각을 갖고 시간 흐름에 따른 장소의 변화를 읽어내고 있다. 본래 존재했던 어느 지역이 개항 이후 일제시기, 그리고 이후 산업화 시기, 또 최근 21세기 이후 탈산업화.정보화시대에 이르기까지……. 근대화, 산업화하면서 사라지고 부서지거나 혹은 빠르게 개발되어 변모한 곳들이, 근래에는 사람들의 인식과 생활수준의 변화에 따라 또 다시 새롭게 조명되어 바뀌어가는 양상을 저자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저자가 이야기한 따스한 시선 이외에 앞으로의 공간 변화는 어떨까 하는 궁금함도 생긴다. 저자가 말하듯 지자체가 실시되고 한국사회의 소비 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지역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에 불거지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라든가, 지나치게 관광상품으로만 공간이 재조명되는 문제도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지역민이 주체가 되고 지역을 살리는 방식으로 또 새롭게 공간이 바뀌어갈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할 것이다. 이 책 4부 다섯 번째 꼭지에서 소개된 부산의 감천문화마을이나 서울 삼선동 장수마을은 천덕꾸러기로 전락한 골목과 마을이 주민의 참여를 통해 어떻게 단순 재개발이 아닌 새로운 문화가 싹트는 곳으로 바뀔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그런 좋은 사례일 것이다. 나아가 이제는 생태환경까지 고려하면서 어떻게 하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많아져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상상도 해본다.

 

아무튼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지금 막바로 그곳으로 달려가게끔 하는 충동이 생긴다. 

 

옥에 티: 78쪽에서 식목일이 1990년에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고 했는데, 이는 잘못이다. 2006년에 식목일이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