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엔트로피 범우사상신서 14
제레미 리프킨 외 지음 / 범우사 / 199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차례를 보고 엔트로피라는 개념이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엔트로피는 모든 과학의 제1법칙'인가 보다.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이용 가능한 것에서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또는 질서 있는 것에서 무질서한 것으로 변화한다'는 엔트로피의 법칙은 종래의 발전과 진보의 개념을 뒤집어 놓았다.인류는 질서있는 세계를 만들어 왔던 것이 아니라 에너지 환경을 변화시켜 온것에 지나지 않는다.즉 에너지의 흐름과 집중도를 높혔던 테크놀로지로 인하여 발전하는 듯이 보였던 것이다.오히려 거짓 진보의 대가로 지구라는 닫힌 계안에 쓰레기(엔트로피)만을 증대시켰다.그 결과 현대사회는 에너지의 '절정상태'에 다다랐고 과거 문명들처럼 몰락의 위기에 직면했다.

여기서 엔트로피의 법칙을 뉴턴의 우주기계론적 세계관을 대신할 새로운 세계관에 적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과거 인류의 위대한 스승들의 가르침대로 저엔트로피적 사회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작자인 제레미 리프킨은 '인간이 살아가는 궁국적 목적은 물질적 욕구를 만족시키는것이 아니라 우주의 진리(엔트로피의 법칙)와 의 합일을 도모하여 여기서 얻는 만족으로부터 비롯되는 인간적 해방감을 체험하는 것'이라고 했다.이것이 저엔트로피의 사회에서만 영유할 수 있는 진정한 삶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엔트로피의 법칙은 단순히 에너지 절약 캠페인의 근거가 아니다.현재 세기를 바라보는 거울이자, 다음 세기를 살아가는 지도이자,'존재양식'으로서의 삶을 위한 전제이다.

1970~80년대 통계자료라는 점이 아쉽지만 현대에 적용되는 데 무리가 없는 듯 보인다.개인적으로 대체 에너지라고 생각했던 태양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의 신화가 깨지는 부분이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