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실 비치에서
이언 매큐언 지음, 우달임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그들은 젊고 잘 교육받은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둘 다 첫날밤인 지금까지 순결을 지키고 있었다. 물론 요즘에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 시절은 성문제를 화제에 올리는 것조차 불가능하던 때였다." (p.9)
 

​이 이야기는 위의 문장으로 시작된다. 지금 이곳은 체실 비치의 한 호텔이고, 남녀 주인공 애드워드와 플로렌스는 막 결혼을 한 사이다. 이곳에서 결혼 첫 날을 보내고 있다. 이들은 첫날 밤을 앞두고 있고, 보통의 신혼부부가 그렇듯 성적인 긴장감에 휩싸여 있다. 이 책의 묘미는 여기에 있다. 시작되는 문장과 그들이 지금 놓인 상황 간의 괴리, 그리고 그들이 가진 생각의 확고한 차이.

솔직히 말해, 애드워드와 플로렌스가 거닐었던 길과 나란히 누워 하늘을 바라보던 언덕이 난 전혀 궁금하지 않았다. 그런 풍경에 대한 세밀한 묘사는 물론 너무도 아름다운 것이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에는 그런 풍경과 연인의 아름다운 장면들을 떠올리거나 궁금해 할 틈이 없었다. 정말 궁금하고 원했던 것은, 그 다음에 진행될 이야기 뿐이었다. 체실 비치의 호텔에서 이들이 처한 상황과 앞으로 하게 될 일 말이다. 이 남녀가 신혼 첫날 밤을 어떻게 보낼 것인지, 과연 무탈하게 보낼 수 있을지.

 

내가 음란마귀가 씌여 두 사람이 사랑을 나누는 장면만을 기대하면서 눈을 번득이고 있었던 게 아니라고는 못하겠다.(사실이니까.)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이렇게 포장하자면), 여기 체실 비치 호텔에서 보내는 첫 밤은 이 남녀의 연애가 끝이 나고 결혼 생활로 들어가는 문을 여는, 상징적인 의미라고 생각했다. 그러니 첫날 밤이라는 의식은, 무사히 치뤘을 때 다음 관문으로 넘어갈 수 있는 일종의 중간보스 같은 느낌이랄까. 그렇게 놓고 보면 그들이 묶는 호텔방은 모험의 공간이고, 그 밤은 역경의 시간이 된다. 그런 나름의 스펙터클이 존재한다.(중요한 순간마다 그 짧은 시간동안 각자의 머릿속에 무수히 많은 생각들이 스쳐가고, 상대의 의중을 떠보고 가늠하느라 온 신경을 집중하는, 치열한 장면이 계속된다.) 그런 모험의 관문을 거치면서 그들은 결혼이 현실이라는 것을, 더 이상 환상처럼 달콤하고 이성적이며 자신만의 가치에 부합하는 행복이 아님을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

무엇보다 감탄했던 것은, 작가의 세밀한 묘사를 마주할 때였다. 좀 전에 말했던 것처럼 애드워드와 플로렌스가 호텔에 머물렀던 잠시의 시간을 다시 짧은 순간으로 나누어 그들을 스쳐가는 생각과 미세하게 변화하는 심리라든지, 상대에 대한 지레짐작 혹은 엇갈린 추측 같은 것을 참 탁월하게 그려낸다. 글을 읽고 있음에도 영상을 보는 듯 하고, 그걸 보는 나도 긴장감 속에서 그들을 지켜보게 된다.

 

작가는 그런 긴장감을 잘 이용할 줄 안다. 이야기가 좀 진전될 만 하면 과거의 추억을 회상하고, 가족에 대해, 플로렌스의 음악에 대해, 에드워드의 역사책에 대해, 교묘하게 넘어가 버린다. 물론, 두 남녀의 가치관과 취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배경을 알아야 하고 납득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건 인정. 하지만 이런 순간에 작가가 정말 얄미워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수목 드라마 목요일 분량을 5분 남겨 놓은 듯한 기분. 남녀 주인공이 서로의 사랑을 확인할 듯 말 듯 하다가 그냥 끝나버리면 난 도저히 다음주 수요일까지 기다릴 자신이 없다.

제발, 여기서 멈추지 말고 결말을 보여주라고! 그래서 첫날 밤은? 성적인 취향의 타협점을 찾았냐고!

 

이렇게 애원하듯 짜증내듯 이 책을 읽고보니, 첫날 밤의 결말보다 중요한 것은 그 다음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실은 작가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이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 마지막 열 페이지 남짓한 글을 보이기 위해 앞의 무수한 이야기들을 이끌어 온 게 아닌가 하는. 사랑에 대한 고찰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역시 작가는 보통이 아니다.

 

 

다시 이 책을 표현하자면, 어리석은 자존심이 가득했던, 미성숙한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자, 그런 사랑은 다시 없다는 걸 깨닫게 하는 이별에 대한 이야기다. 누구나 사랑을 하지만 그 사랑의 강도는 모두가 다르듯, 한 사람의 경험들 안에서도 각각의 강도는 모두 다르며 더욱 아리거나 복받치는 추억이 있기 마련이다. 특히나 서로의 사랑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거라는 환상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세상에 둘만 존재하는 것 같았던 사랑이라면 더구나. 더불어 이별이 또 다른 그리움의 시작이 되거나, 진실된 사랑을 알게 해주거나, 그 아픔으로 스스로가 더욱 성숙해지는 때도 있다. 아쉬운 사랑일수록 더욱 많은 미련과 후회와 반성과 집착이 남게 되는 것일까. 

하지만 우리는 안다. 아쉽게 느껴지는 그 사람이 지금껏 내 곁에 있었다면, 지금 머릿속에 그려지는 장면들처럼 그렇게 아름답지는 못할 거라는 사실을. 추억이고, 아쉬움에 미화된 기억일 뿐이라는 것을. 애드워드 역시 그것을 잘 알고 있다. "그는 자신의 기억 속에 있는 그녀의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싶었다."(p.196) 그는 이미 중년을 넘어섰고, 사람을 포함한 많은 경험을 했기 때문이다.

 

남녀가 하는(이성애만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소설의 설정이 그러니까.) 사랑은 단 한 순간의 오해와 의심으로도 흔들릴 수 있다. 무턱대고 견고한 사랑이라는 것은 없다. 그렇기에 서로의 헌신과 노력, 대화가 필요한 것이다.

결국은 사랑이 두 사람을 지켜주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마음을 서로가 노력으로 지켜가야 아름다운 엔딩을 맞을 수 있다는 것.

사랑과 결혼 역시 '관계'의 문제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