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자 - 자연과 더불어 세계와 소통하다, 완역결정판
노자 지음, 김학주 옮김 / 연암서가 / 2011년 4월
평점 :
지금처럼 바쁜 세상에 과연 고전을 공부하고, 고전을 읽는다는 것이 유익일까? 고전을 공부를 안 하고, 접해 보지 못 한 사람은 그 만큼 손해일까? 이러한 물음에 자신있게 대답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어떤 이는 고전을 통해 많은 유익함을 얻게 된다고 하고, 어떤 이는 고전은 그저 고전에 불과할 뿐, 큰 유익함을 얻을 것이라고 말한다. 또 어떤 이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고전이라고 해도 다 그 가치가 다르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렇다면 고전 중에서 가장 많이 번역된 책이 그나마 가장 유익한 책이든가 아니면 그나마 가장 많은 현대인들에게 애용받는 책일 것이라는 생각에는 어느 정도 일리가 있는 듯하다.
그렇다면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가장 많은 이들이 읽고 있는 동양의 고전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도덕경]이라고도 불리는 [노자]이다. 이 [노자]의 저자인 노자는 살았던 시대도 분명하지 않고, 현존인물인지 가상인물인지도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노자는 장자와 더불어, 동양 사상을 대표하는 도가의 창시자로 유명한 사람임에 틀림 없다.
하지만 패러다임이란 것이 시대를 이끄는 사상과 정신을 주도하기 때문에, 그 당시를 대표하는 고전 사상이 될 수 있지만, 지금 우리들이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사상도 있다.
가령. 공부하지 않는 것을 공부하는 것으로 삼아라 라는 대목은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다.
또는 알면서도 알지 못한다고 여기는 것이 훌륭한 태도이다. 라고 하는 대목도 조금은 받아들이기 힘든 대목이다.
그런 반면에, 마음에 쏙 드는 대목도 있다.
즉 자신이 강하다다는 것을 알면서도 약한 입장을 지키면 천하 사람들이 계곡에 물이 모이듯 몰려 든다. 그 자신이 결백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욕된 것 같은 입장을 지키면 천하 사람들이 계곡으로 물이 흐르듯 따르게 된다. 라는 대목은 의미싱장한 부분인 듯 하다.
사마천이 사기에서 밝힌 것처럼, 노자는 역시 인의예지가 아닌 도를 귀히 여겼음을 알수 있었고, 그 근거는 허무 사상이고, 변화의 원천은 무위 사상임을 알 수 있었다.
한 번 쯤 접해 보면, 사상이 넓어지고, 사유가 넓어질 수 있어서 유익한 독서가 될 것 같다. 어떤 고전을 보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권해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