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집 짓기 - 이별의 순간, 아버지와 함께 만든 것
데이비드 기펄스 지음, 서창렬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세이인지 1인칭 시점의 소설인지 모호함 속에 쉬지 않고 책을  만났다.



자신의 2세가 본인들에게 헌정하는 글.

작가는 정말 멋진 선물을 부모에게 했구나 싶다.


작가가 아니더라도 사랑하는 부모님께 한 줄의 글이라도 보내드리고 싶은 욕심이 생기게 했다.


이별의 순간 , 아버지와 함께 만든 것 .


그냥 상자 일 뿐 .......


혹은  영혼의 집.....



지은이  : 데이비드 기펄스

기자, 작가, 교수. 미국 오하이오의 애크런 대학에서 영문학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애크런 비컨 저널Akron Beacon Journal〉의 기자이자 칼럼니스트였으며 MTV 만화시리즈 〈비비스 앤 버트헤드Beavis and Butt-Head〉의 작가로도 활동했다. 그의 글은 〈뉴욕 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에스콰이어〉 등 다양한 매체에 실렸다. 현재 애크런 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가르치며 글을 쓰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애크런을 떠나 대도시로 향했지만 그는 태어나서 줄곧 고향을 떠나지 않았다. 이곳에 남아 집을 고치고 일하고 가정을 꾸리며 다음 세대의 사람들이 더 많이 머물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것에 진정한 가치를 느꼈다. 그는 애크런의 독특하고 따뜻한 정서를 배경으로 한 회고록을 다수 펴냈다. 저서로 오하이오 북 어워드 수상작 『집으로 가는 길All the Way Home』, 『어려운 길을 가다The Hard Way on Purpose』, 『영혼의 집 짓기Furnishing Eternity』가 있다.



p 14 ~ p 15

내기억에 근육질로 남아있는 아버지의 팔은 지금은 주름이 졌고 피부가 푸서푸석하다. 그렇지만 내가 있는 그대로 보려 할 때도 아버지의 팔은 여전히 예전 모습처럼 단단하도 튼튼해 보인다. 아버지의 머리카락은 하얗다. 하지만 그 머리털이 내 눈에서 내 마음으로 넘아갈 즈음에는 흰색으로 보이지 않는다. 아버지의 억센 팔, 곰슬곰슬한 밤색 머리털. 이것들이 내 마음속에 굳게 자리 잡은 기본적인 진실이고, 세월의 배신을 영전히 나를 놀라게 한다. 기억은 사실보다강한 법이다.  


몇 번 반복해서 보게 되었다.

옛 사진 속의 엄마의 얼굴에서 자글자글한 주름을 발견했다.

쳐지고 푸석푸석한 피부

그때는 정말 몰랐었다. 우리엄마 얼굴에 주름이 그렇게 가득한지.....

이제 사진을 들여다보니 정말 살아온 삶의 무게가 그대로 담겨 있는 모습이었다.

내가 보고자 하는대로 엄마를 바라봤던 모양이다.

기억은 사실보다강한 법이다.  

딩~ 머리 한쪽이 울린다.


p 29 ~p 30
아버지는 ~중략 ~ 스케치했다. 그러다가 문득 종이 위를 움직이던 연필을 멈추더니 잠시 후 연필을 옆으로 치우고거기에 그려진 형체를들여다보았다.
그리고 마치 뜻밖의 새로은 사실을 발견한 사람처럼 고개를 끄덕였다. 
 " 이건 말이야," 아버지가말했다. 
"그냥 상자일 뿐이야."

그냥 상자일 뿐인 것을 쉰의 아들은 팔순이 넘은 홀로 된 아버지, 그것도 암과 이중 삼중으로  싸우고 있는 아버지와  3년을 넘게 씨름하며 만들었다. 
그 시간여행이 궁금해졌다. 

p 57 
삶과 죽음, 양호한 건강 상태와 눈앞에 닥친 죽음의 그림자는 마치 웃다가 우는것 처럼 늘 뒤섞인 상태로 존재하며,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 가까이에 있다.

가슴에 비수같이 꽂혔다. 
정말 가까이 죽음의 그림자는 우리곁에 머물렀고 어느 날 준비하지 못한 채 , 그렇게 엄마는 우리 곁을 떠나셨다.

p 148
나는 지난해 여름부터 조금씩 달리기를 해왔다. ~ 중략 ~ 이번 겨우, 내가 달아나려는 것은 다른사람의 암이었다. 처음에는 어머니의 암이었고, 지금은 존과 아버지의 암이었다. 아무리 달아나려해도 한 가지 사실만은 피할 수 없었다.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우면 느끼게되는 공포. 공감이 많이 갔다. 
달리기를 해서 달아나려해도 가위에 눌린 것 처럼 
앞으로 나가지지 않는 피할 수 없는 악몽인 것이다. 

p 175
~ 어머니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의 나와 똑같은 나이였을 때, 그러니까 마흔 여덟하고도 7개월 1일째 되던 날 꼭두새벽에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있었을까, 궁금해 하기 시작했다. ~ 중 략 ~ 나는 어머니에게 질문하기 시작했다. 그날 아침 기분은 어땠나요? ~ 중 략 ~ 
어머니는 내게 한마디 말을 건넸고, 그런 다음 사라졌다. 
외로워지지마.

순간 눈물이 흘렀다.
이젠 함께 할 수 없는 엄마를 그리며,  내 나이때 엄마는 뭐하고 있었을까?
마냥 이쁘고 챙겨줘야 했던 아이들이 커가며, 내 손길을 점점 필요하지 않게 되고
예전의 내가 엄마한테 말 한 것 처럼 
아이들도 내게 똑같이  "알아서 할게. 걱정하지마. 신경쓰지마."  라고 전한다.
엄마도 그 때 내 맘 같았을까? 묻고 싶다.

울 엄마도 내게  한 마디를 건네주셨을 것같다.
외로워지지마. ...


p 184 
그는 갔지만 여전히 곳곳에 있었다.
p 185 
슬픔은 콜라주다.
명확한 순서없이 한꺼번에 던져진 생생한 이미지, 
그 것을 해독하는 일이 보는사람에게 맡겨진 이미지다.

사방에 남아있는 떠난 이의 흔적은
남겨진 자의 슬픔의 몫으로  이중 삼중으로 겹겹히 싸여간다.

p 244
이 작업을 해오는 과정에서 떠올랐던 모든질문 가운데 맨 처음 내가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이유가 생각났다. 그것은 아버지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었다.

나이가 들기도 전에 민들레 씨앗처럼 바람에 훠이 날아 부모곁을 떠난다.
우린 얼마나 어머니와 아버지, 그들의 노년의 시간들을 공유하고 있는지 묻고 싶어졌다.

작가는 죽음이 주는 이별의 슬픔을 뫼비우스의 띠 위를 나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라고 했다.
끝이 보이지도 앞뒤를 돌아볼 수 도 없는 슬픔.
수시로 찾아오는 슬픔.
극복할 수있는 방법은 무얼까? 그저 추억하는 수 밖에......

p 329 
그 말이 계속해서 뇌리에 떠올랐다.
그날 오후 늦은 시간에 그헛간에서 '인생은 짧아'가 주문처럼 거듭 뇌리에 떠올랐고, 그러면서 그 말은 감추어져있던 냉혹한 진실을 드러내기시작했다. 나는 먼저 죽음은 내게 뭔가를 가르치는 일에 관심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중략 ~  또한 나는 시간을 낭비해서는 안 되지만,그렇다고 쉬지 않고  일하는 것이 시간의 가치를 높여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

p 330
어머니의 충고 '외로워지지마' 는 슬픔이라는 것이 흔히들 생각하는것보다더 괜찮은 친구라는사실을 깨닫게 해주었다.

p 331
아무것도 영원하진 않지. 
하지만 거의 모든 것이 삶에 남아 있어.
...............................................................................................

P 335 
나 자신의 관을  만든다는 것은 한때는 매우 매혹적인 은유처럼 보였지만, 다 만들어진 관의 모습은 자신의 진실을 가식없이 드러내 보였다. 아버지는 처음부터 알고 있었던 진실이었다.
그것은 하나의 상자일 뿐이었다.

아버지는 처음부터 알고 있던 진실을 굳이 드러내지 않고 3년이 넘도록  아들의 관을 만들었다.
아들의 관을 만들며 아내의 죽음과 자신의 죽음을 객관적으로 받아들이고 정리하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관이라는 이름으로 그냥 하나의 상자를 3년여동안 만들며, 작가와 아버지는 함께 영원한 영혼의 집짓기를 완성했다. 

마주하기 힘든 주제를  작가는 자전적 소설을 쓰듯 담담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냈다. 부자지간 다른 관계는 이해하기 힘든 복잡미묘한 그들의 이야기를 절제했지만 맑게 드러내 보였다. 거짓말 처럼 이 책이 쓰여지는 동안 소중한 사람들과 이별을 했다. 어머니, 가장 친한 친구, 아버지..   소중했던 이들의 죽음을 슬픔으로묻어두거나 외면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과정이 담담하지만 깊이 여운을 남겼다. 
죽음에 대해, 이별에 대해 객관적인시선으로 바라보게 해준 것같다. 

좋은 글 남긴 작가의 다른 작품이 궁금해졌다.
치밀하게 밀도있게우리 정서에 맞게  옮겨준 서 창렬님께도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좋은 책을 편찬해 준 다산 책방에도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