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한국사傳 4 - 무너진 왕실의 화려한 귀환 한국사傳 4
KBS 한국사傳 제작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전은 역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그런지 영상적인 고려가 탁월하다. 마치 T.V 프로를 보는 듯한 현장감과 생생함이 전해져 온다. 그간 역사에 대한 인식이 참 고루한 점이 있었다면 이런 책으로 말미암아 말끔히 씻어질 것을 기대해도 좋을 책이다.

 

혜경궁 홍씨 편이 퍽 인상적이다. 그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서 솔직히 평범하게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위안도 받았고, 한편 그의 행적을 통해서 꼼꼼한 기록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을 수도 있으니 일석이조 아니겠는가?

 

그동안 역사는 참 어렵다고 생각했고 얼마 되지 않은 역사도 꽤 먼 옛날 얘기처럼만 인식해 왔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사전> 시리즈를 통해서 그러한 통념이 일제히 무너지면서 새로운 지평이 열리고 개안이 됨을 체험할 수 있었다.

 

드라마가 아닌 실제하는 사실을 완성도 높게 꾸려간 프로듀서들의 노고가 눈에 보인다. 광해군에 대한 새로운 인식도 탁월했다고 생각한다. 그의 개혁과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던 정황을 매우 설득력 있게 재현했다고 평가하고 싶다.

 

어렴풋하게나마 일본과의 오랜 연관성 등이 가감없이 등장하는 것도, 고구려의 우씨왕후를 통해 두 임금의 여자가 되었던 우씨의 행적이 왜 그래야만 했는지에 초점을 맞춘 점이랄지, 신라의 왕자인 김교각 스님의 중국 최초의 등신불이 된 이야기와, 그것이 현재와도 살아 숨쉬는 생명체처럼 연결되는 점 등은 정말 책을 놓지 못하게 한 대목이었다.

 

나는 이제 책을 놓았다. 한 순간에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을 아우르고,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멈추었다. 그러나 내가 날숨을 쉬고 들숨을 한 번 쉴 때마다 그 호흡은 슈팽글러처럼 실증사학의 굴레를 춤추는 듯하고, 민족사관의 수레바퀴 안에서 뛰어 놀고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이 책의 교과서를 뛰어넘는 완성도는 그 풀어가는 센스의 재미있음만큼이나 더 ‘열전’적이고 격정적이기까지 하다.

 

최근에 본 영화 ‘쌍화점’을 내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책에 실린 ‘신화가 된 사랑-공민왕과 노국공주’ 편 덕분이다. 그래서 더욱 사실과 허구의 분기점을 구별할 수 있었고 공민왕과 노국공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한때 공민왕이 되었다가 노국공주가 되기도 하였다. 그야 말로 ‘몰입’ 그 자체였다.

 

이제 흥선대원군과 고종의 얘기를 끝으로 서평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내가 흥선대원군이었다면 어땠을까? 어떻게 결정했을까? 내가 고종이라면 그 어려운 국면을 어떻게 헤쳐나갔을까? 정말 답이 없지만 오늘 날의 어려운 경제 시국의 상황에서 볼 때도 충분히 비견할 만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보면 오히려 쉽게 그때의 상황을 풀어나갈 수도 있지 않았을까 싶다. 둘 다 생각은 같았지만 한 사람은 쇄국의 입장이었고 한 사람의 개화의 입장이었다. 나는 둘 다 옳았다고 본다. 우리가 아무리 부국강병을 외치고 스스로를 지키려고 했던들 과연 우리의 정절을 지켜낼 수 있었을까? 우리가 도저히 벗겨낼 수 없는 침략주의 앞에서 오히려 옹졸하지 않았던 두 사람. 누가 올고 누가 그른지를 떠나 그들은 분명 군주였다.

 

나는 이제 나의 역사를 새로 쓰고 싶다. 그러니까 내가 생각했던 역사관을 달리 할 필요성이 제기된 셈이다. 만지고 또 만져도 질리지 않는 섬섬옥수 같은 아트지에 처음 보는 화보들은 신선한 공기처럼 나에게 오솔길이 되어 주었다. 나머지 시리즈가 기다려진다. 우리는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건 순전이 이 책 덕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