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령사 오백나한의 미소 앞에서 - 김치호 한국미술 에세이
김치호 지음 / 한길아트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김치호의 본업은 경제학자이다. 은퇴 후 그의 인생 2막은 미술 평론이 되었다. <창령사 오백나한의 미소 앞에서>는 그 세 번째 평론집이다.

<창령사 오백나한의 미소 앞에서>에서 가장 눈에 띠는 점은, '상품'으로서 미술품의 성격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보통 우리는 미술품은 상품이 될 수 없지, 신성시하면서 미술품을 '상품'으로 보는 것이 치를 떨기도 한다. 김치호는 미술품을 재산증식의 수단으로 보는 관점과, 미술품을 신성한 토템처럼 여기는 관점이 아닌 다른 관점에서 '상품으로서의 미술품'에 접근한다. 바로 '컬렉션'의 일부로서 수집되는 미술품 말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미술품은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크지 않다. 정보 비대칭성과 낮은 자산 유동성 때문이다. 그럼에도 어떤 이들은 굉장한 돈을 들여 미술품을 모은다. 예술작품이 지닌 아름다움과 가치에 반한 수집가는 비싼 돈을 주고서라도 미술품을 사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꼴랑 저런 작품이 저렇게 비싸게 팔린다니, 라는 시각보다는, 대체 어떤 작품이길래 저 돈을 주고라고 사려는 것일까? 하는 호기심이 더 적당할 것이다.

김치호의 마음 속 컬렉션에 들어온 미술작품 중 가장 하이라이트는 역시 책 제목에도 등장한 '창령사 오백나한'이다. 오백나한은 김치호가 말하듯이 아라한(arhat)을 말한다. 김치호는 32상이라는 위엄있고 엄격한 부처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과 달리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나한상의 묘미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것을 질박한 세속의 기원과 바람이 담긴 고려미의 꽃이라고 표현한다.

한국의 불교는 정말 '대승불교'였던 것이다. 아라한들은 대승경전에서 '증상만(자만스러운 자들)'이라고 비판된다. 자기에만 관심이 있고, 실제로 구원을 얻지도 못했으면서 몇 가지의 명상 수행에서 이룬 성취를 지나치게 과장하여 자만심에 차있다는 것이다. 그런 아라한들이 이렇게 친근한 미소를 띠고 대중의 기도와 함께 했다니.. 김치호의 말대로 고려 민중 속에 불교는 마음의 빈 공간을 파들며 녹아있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