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마음의 생태학 -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김우창 지음 / 김영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s://blog.naver.com/young-taek/221240279053

 

우선, 이 책을 이해하기 앞서 '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알아야 한다. 생태학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생물 상호간의 관계 및 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밝혀내는 학문이다. 즉 주어진 환경과의 연관성에 의한 영향과 결과 및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다시 말해, 책의 내용 전체를 이해하기보다는 복잡성과 복잡성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음을 발견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 책은 혼란을 야기한다. 마치 신에 대한 탐구와 같다. 그러나 혼란 속에서 깨닫는 것은 마냥 혼란스러워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혼란이라는 '?'가 나를 향한 '?'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 '!'가 될 수 있게끔 이 책은 마음의 생태학, 생태적 환경에 대해, 여러 방면에 거쳐 서술한다. 삶은 나이브(naive)하지 않다. '라이브(live)하다. 그 살아 있음, 그로 인해 규정할 수 없음을 받아들이게 만든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수용은 아니다. 받아들일 수 있게끔 생태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제시하기 때문이며, 그 가운데서 선택을 이끌기 때문이다.

 <공유>
1.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지적인 의견이 아니라 아름다움이나 순진함과 같은 것이다. 다정스러움, 예절, "기쁨에서 나오는 친절", 너그러움, 즐거움 등이다(p.31).

2. 기술의 틀이 갖는 강력한 힘은 기술의 운명 중 일부이다. 그것은 사람을 드러냄의 길로 나서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그러한 부림에서 드러나는 것만을 추구하고 밀고 나가며 거기에서만 기준을 취하게 될 가능성에 가까이 가게 한다. 그렇게 하여 다른 가능성이 봉쇄된다. 더 빨리 더 많이 그리고 늘 더 근원적으로 드러남의 본질과드러남에 스스로를 맡기며 필요한 드러냄에의 귀속이 그 자신의 본질임을 경험할 다른 가능성이 봉쇄되는 것이다. p. 336~337

 3. 우리는 마음을 새로 먹으라는 말씀을 너무나 많이 들어 왔기 때문에, 그리고 마음만 새로 먹어서는 되는 일이 별로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많은 것을 마음으로 환원하는 데에 주저를 느낀다. 그러나 마음은 현실의 일부이다. 그것은 현실과 맞물려서 돌아가는 한 원리이다(p.482). 오늘의 삶에서 우리가 잊어버린 것은 일체의 깊이에 대한 감각이다(p.468). 무언가를 바로 보려면 평면만이 아니라 입체적 공간을 보아야 한다(p.485).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과거의 역사를 백지로 돌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p.456). 무엇보다 깊이와 뿌리가 없는 곳에서는 뛰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p.486).

 4. 우리가 가장 가까운 사람들에 대한 관계는 무상의 신뢰에 기초해 있다. 즉 나의 있음은 나를 넘어가며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이다. p.5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