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정치학 - 기독교 세계 이후 교회의 형성과 실천
스탠리 하우워어스 지음, 백지윤 옮김 / IVP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로그에 오시면 내용 정리와 다른 내용도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young-taek/221773267143

 

진단 없이 치료는 불가능하다.

현상을 알아야 소망을 얘기할 수 있다.

 

 

'증언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명제와

'우리는 무엇을 증언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이며, 무엇을 경계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남았다.

 

 

정치학(, politics)이란 사회과학(, social science)의 한 분야로서 정치 또는 정치현상을 그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정치학이란 개념을 정의하기에 앞서 정치 또는 정치현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치 또는 정치현상은 인간사회에서 발생된다.

 

 

정치학이란, 정의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현상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교회의 정치학은 이런 정의에서 이해하면 좋을 듯 싶다. 우리는 정치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어서, 뭔가 권모술수를 쓰고 당파를 짓는 것을 연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정의에서 언급하듯이, 교회의 정치학을 통해 현재 교회의 현상을 살펴 볼 수 있다. 그리고 살펴보아야 비로소 다음을 논할 수 있다. 그렇기에 교회의 건강함을 소망하는 사람이라는 이 책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은 다소 있을 수 있겠지만, 모든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충분히 관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질문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현상을 파악함으로써 다음을 논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 없이는 치료는 불가능하다.

 

 

우선 신학에 관한 전공지식이 없는 사람 입장에서 책은 어렵게 느껴진다. 단어들의 낯섦에서 오는 어려움이다. 개인적으로 모를 법한 단어들에 대한 용어정리가 있었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이 책이 신학을 전공한 사람들만을 위해 쓰인 책이라기 보다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신앙서적이라는 생각에서 그러하다. 생각이 틀렸을지라도, 일반 독자들에게 '어렵다'는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무엇보다, 생각하게 만드는 이러한 책은 신학에 무지한 사람들도 읽을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기독교의 변화는 신학자들에게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성도들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그리스도인들에 관한 사실을 서술하기 때문이다.

 

 

또한 《포스트크리스텐뎀》이라는 책과 함께 읽으면 좋다. 목차들만 살펴봐도 이 책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는 내용들임을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기독교에 대한 책이니 만큼 더욱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읽으면서 궁금했던 용어들과 좀 더 이해가 필요한 부분에서 내용들이 있어서 《교회의 정치학》을 함께 읽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추천사를 읽고 마음에 들었던 부분을 공유하자면 아래와 같다.

당신이 촛불을 밝히든 태극기를 흔들든 그 사이에 끼여 있든, 하우어워스는 당신을 불태우고 당신의 세계를 뒤흔들 것이다.

 

하우어워스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현실과 결탁하기보다 복음의 증인이 되어야 한다는 비전을 불어넣는다. 복음의 증인이 되기 원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오늘날 기독교의 복음은 지나치게 개인적이고 극히 내면화되었다. 사회적 책임과 역사적 사명은 외면한 채, 각자 입맛에 따라 정치나 여론에 편승하는 모습이다. 하우어워스는 복음이 곧 인간과 인류 역사에 허락된 하나님의 은혜라고 말한다. 이것은 신자에게 진정한 자유이자 명예이다. 바로 지금 한국 교회에 필요한 성찰은 책임 있는 신자가 되는 것이다.

<추천사 中>

 

 

기독교는 언어의 힘을 잃어버렸다. 너무 일반화되었기 때문이다. 성경의 언어를 남발한다. 그리고 그것은 경건하게 보이는 척도라고 착각한다. 성경적 언어의 나열은 거북하다. 언어에 생명이 없이 때문이다. 수식어로 전락한 어휘들은 익숙한 단어에 불과하다. 그래서 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심지어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불편을 야기하기도 한다. 그리고 신뢰를 주지 못한다.

소용되는 데는 덕을 세우기 위해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사람을 살리는 데 사용되어야 하며, 진정한 관계를 위해 서술되어야 한다. 잊어버린 맥락을 다시금 회복해야 한다. 잃어버린 힘의 회복은 여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교회는 신실한가? 그렇다면 '교회'와 '세상'이라는 이분법적인 구분을 스스로 없애야 한다. 그러해야 한다. 이러한 이분법적인 구분은 교회를 오히려 고립시킨다. 왜냐하면 '세상'이라 불리는 사회 안에 교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교회 안에서만 힘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다. 기독교의 가르침은 교회에서만 작동한다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가르침은 교회를 위한 내용이 아니라 세상을 위한 말씀들로 충만하다. 그리고 교회는 그러한 역할을 감당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 부름받은 공동체다. '세상의 빛'과 '소금'이라는 정체성이 수식어로만 그쳐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