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 때리기의 기적 - 생각을 멈추고 여유를 찾는 뇌의 비밀
스리니바산 필레이 지음, 안기순 옮김 / 김영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모든 것이 과잉인 시대, 집중마저 과잉이다.
집중의 과잉에 의문을 제기한다. 《멍 때리기의 기적》

 

철학자 한병철씨가 《피로사회》에서 '긍정성의 과잉'이라는 표현을 했다. 긍정으로 여겨지는 집중, 집중 또한 과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모든 것이 과잉인 시대. 모든 과잉은 항상 문제를 야기한다. 이제는 집중마저 과잉이다. 사실 잘 와닿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집중'이라는 단어에 대해 우리가 갖고 있는 이미지가 긍정적인 까닭이다. 심지어 "집중의 과잉은 좋은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집중 역시 과유불급(過猶不及)을 피해갈 수 없다. 집중의 과잉은 우리에게 여유를 허락하지 않는다. 실수를 허락하지 않고 쉼을 허락하지 않는다. 집중의 과잉은 실수를 실수로만 내버려둔다. 그렇게 실수는 버려진다. 또한 쉼은 나태함으로 해석된다. 다르게 생각할 여지를 배제해 버리는 것이다.
   집중의 절정은 멀티태스킹 능력을 우러러보는 현상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빨리 일을 처리하면 다른 시간을 활용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멀티태스킹은 오히려 쉼을 허락하지 않는다. 뇌를 혹사시키기 때문에 쉬고 싶을 때 쉬지 못하게 만든다. 먼지처럼 피로가 쌓여 정지되어 버린다.

이러한 집중의 과잉은 균형을 잃은 것이다. 사람에게 이성과 감성이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성과 감성 중, 어느 한 쪽만 우세한 것이 문제를 야기한다는 사실 또한 안다. 치우친 경향성이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뇌의 작용에서도 동일하다.
    사람의 뇌는 의식과 무의식이 서로 상호작용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무의식의 존재'만' 알 뿐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집중, 즉 의식에만 크게 신경을 쓰고 계발하려고 노력한다. 사회 생활에서 크게 강조하고 자주 언급되는 말이 '집중'이기 때문이다. 집중하지 못하면 산만한 문제아처럼 보는 인식도 한몫하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멀티태스킹을 숭배하는 듯한 사회적 분위기도 무시할 수 없다. 이처럼 우리는 집중에 대해서만 듣게 된다. 그리고 집중하지 않으면 살 수 없을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이 있다. 이런 이유들에서 무의식은 잘 언급되지 않는다.
   집중이 미덕처럼 여겨진다고 해서, 집중의 과잉에 대한 문제인식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최근 한국에서는 '멍 때리기 대회'가 열려 집중의 과잉에 대해 재고하게 만들었다. 쉼을 허락하지 않는 사회에 대한 무언의 브레이크였고, 동시에 스스로를 위한 선물이었다. 실제로 대회에 참여한 사람들의 고백이었다.
   비집중하는 것을 TV나 동영상을 보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의도적인 쉼은 일과가 끝난후 TV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얘기이다. TV나 동영상을 보는 것은 뇌에게 쉼을 허락하는 것이 아니라 멈추게 만드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창의성은 필수요소가 되었다. 창의성은 어떤 것과 어떤 것 사이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사이의 공간(term)을 늘릴수록 창의력은 증가한다. 많은 연결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이것은 비집중의 원리 중 하나이다. 의도적으로 관련없는 것을 끼워넣음으로써 공간(term)을 만들 수 있다. 이럴 때 뇌가 과부하 걸리지 않고 즐길 수 있다. 오히려 양은 늘어났지만, 효율은 더 증가하는 것이다. 피로 때문에 뇌가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활력이 생긴다. 멀티태스킹의 저주에서 벗어나 슈퍼태스킹이 가능한 것이다.
   집중과 비집중의 차이, 비집중을 위한 의도적인 노력들을 책에서 만날 수 있다. 의도적인 멈춤이 새로운 시간을 허락할 것이다. 멈춤의 힘이 시간을 재창조할 것이다.

 

더 풍성한 내용은 네이버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young-taek/221331267206
- 이웃신청 받아요
- 서이추는 지인과 자신만의 글을 쓰시는 분들과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