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 스케치 1 -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 풀빛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학교를 졸업하고 거의 접하지 않았던 한국철학을 다시 만났다.
<한국철학 스케치>를 읽으면서 학창시절 어렵고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한국철학의 역사가 쉽고 재미있게 내 머릿속에 들어왔다.

단군신화부터 근대의 개화사상까지 쉽고 자세히 풀어져 있다.
우리 문화 모든 것의 싹인 단군 신화는 전설처럼 내려오지만 그것이 바로 우리 민족의 뿌리고 우리 역사의 첫 시작이다.
단군 조선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고려 승려 일연이 1281년경에 편찬한 <삼국유사>에 단군 신화가 나올 뿐이다.
단군 신화에 보면 단군의 나이가 1908세라고 나와 있는데 이것은 한 사람의 나이가 아니라 단군 조선이 대대로 이어 온 기간을 표현한 것 같다고 풀이했다.
그리고 단군 신화에는 고대 우리 선조들이 가지고 있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가치관과 사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처럼 신화 안에 역사적인 의미들이 많이 숨겨져 있다고 한다.

삼국 시대에 들어온 새로운 사상인 유교와 불교, 도교가 있다.
유교는 중국 한나라 때 들어왔는데 고구려, 백제, 신라가 유교를 받아들여서 교육과 정치 이념으로 삼았다. 또한 불교도 중국에서 들어왔는데 고구려와 신라는 호국성이 강한 북조 불교가 들어왔고, 백제는 개인주의 성향을 띤 남조 불교가 들어왔다. 이중에서 가장 늦게 불교를 받아들인 나라는 신라지만 한국 불교의 발전은 신라 불교에서 시작되었고 발전되었다.

고려 왕조에서 조선 왕조로 바뀌면서 새롭게 권력을 잡은 지배층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제도를 바꿨으며 사상계도 예외는 아니었다.
고려 왕조가 지지하던 불교에서 조선 왕조가 지지하는 성리학으로 바뀌어갔다.
성리학은 기본적으로 유교에 토대를 두었다.
유교는 착한 행동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조선시대 성리학을 공부하는 지배층들을 보면 이론만 공부했지 실전으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물론 청렴하고 백성들을 진심으로 생각하는 선비들도 있었다.) 특히 조선후기로 갈수록 지배층들의 등쌀에 백성들만 살기가 점점 어려워졌다. 이처럼 말과 행동이 다른 지배층 때문에 조선의 몰락이 더 빨리 오지 않았나싶다.   

조선후기로 접어들면서 실학사상이 발전했는데 상업과 유통을 중시하며 백성들이 더 편히 살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했다.
그리고 근대에 이르면서 동학이 생겨났다. 동학은 외세와 봉건 지배 세력에 대항하고 민중 운동을 했으며 그 뒤에는 의병 활동과 독립운동으로 이어졌다.

한국철학 스케치를 읽으면서 내가 그동안 잊고 지내왔던 우리나라의 철학이 중요한 문화유산임을 알았다.
무조건 철학이 딱딱하다는 편견을 버릴 만큼 쉽고 재미있게 읽어서 다른 친구들에게도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