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다리 아저씨 - 문예교양선서 38
진 웹스터 지음, 한영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가끔 일상이 지루해 질때면 키다리 아저씨를 가지고 다니며, 아침 출근길 전철속에서 하루에 한두페이지 분량을 읽는다. 나의 주된 관심사는 그녀가 키다리 아저씨와 맺어지는 것에 대한 설레임보다는 고아인 그녀가 세상에 대해 품고 있는 희망이다.

고아이지만 천진난만한 소녀 주디 애버트, 어찌보면 캔디를 연상할 수도 있지만, 부자집에 입양되어서 겪는 갈등보다는 주디가 키다리아저씨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오히려 순진무구한 감동이 느껴진다. 물론 주디의 편지가 의무사항 때문에 행하는 것이긴 하지만, 그녀의 편지는 때로는 일기같고, 때로는 보고서같고, 또 때로는 소설속의 소설같고, 또 사랑고백서(?)이기도 하다.

그녀가 부자인 저비스와 결혼하게 되는 결말은 별로 중요치 않다. 부자인 저비스와의 결혼, 혹은 상상속의 키다리 아저씨와의 결혼에 대하여, 신데렐라 콤플렉스에 비유한다는 것은 너무나 비판적인 시각이다. 그러기엔 고아소녀 주디는 너무나 세상을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