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품없는 상 우리 문화 그림책 19
김소연 지음, 이광익 그림 / 사계절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세끼 밥을 어디서 먹는 지 생각을 해볼까요?
보통 식탁에 앉아 먹는게 일상화 된 시대인데요.
옛날에는 어디에서 식사를 했을까요?
우리 선조들은 상을 받는다는 표현을 했어요.
밥상에 밥과 반찬을 차려 방으로 가져와서 먹는 게 우리 선조들의 밥상 문화였죠.
아직도 밥상을  받는 분들도 계실지 모르지만,
우리 아이들은 거의 식탁 문화가 익숙할 듯한데요.
우리 선조들의 밥상  문화를 알아볼 수 있는
[볼품없는 상]을 소개해드릴게요.

 

 

 



장이가 산골 집에서 아버지와 마주 앉아 깍은 상을
팔러 가는 길이에요.



장터엔 소반전이 즐비한데요.
여기 저기 밥상 사라는 소리가 우렁차네요.
하루 종일 목청이 터져라 불러도 손님이 오지 않아요.
장이는 볼품없는 상이라 팔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죠.

 

 


해거름에 장이는 상방 앞에서 멈추었어요.
기름기 잘잘 흐르는 상들이 노을에 반짝이네요.
장이는 상 만드는 법을 배우기로 하죠.
어느새 산골 집은 까맣게 잊고,
소반 짓는 기술을 익히느라 통나무 상은 한구석에 버려두고
돌아보지도 않았어요.



장날에 장터 한가운데  줄놀이꾼들이왔어요.
줄꾼 아이가 찾아와 아버지 생신에 맞춰 상을 하나
사고 싶다고 하자 장이는 산골집을 떠올리며
멋진 걸로 만들어주겠다 하죠.

장이는 정말 열심히 상을 만들어 어여쁜
호족반 하나가 완성되었지요.
장이는 호족반을 보고 자랑스러워했지요.

 



줄꾼 아니는 장이가 만든 호족반이 자신의 아버지랑 어울리지 않는다며
다른 상을 보러 갔지요.
줄꾼 아이가 고른 것은 장이가 볼품없다고 생각한
통나무 상이였어요.


장이는 투박하고 두툼한 통나무 상이 왜 좋은지 알고 싶었어요.
줄꾼 아이는
" 이 상을 보고 있자니 고향이 떠오른다.
한평생 장바닥을 헤매며 늙으신 아버지가 입버릇처럼
말씀하신 그 고향 말이야."
줄꾼 아이는 통나무 상을 품에 안고 가게를 나갔어요.

 

그날 밤, 장이는 상 하나를 깍기 시작했어요.
아버지의 숨결이 살아나고 아버지 손바닥 자국이 그대로
보여지는 상으로 만들었지요.
비싼 옻칠 대신 콩기름으로 윤을 내고
화려한 조각 대신 둥그런 받침이 전부인 상.
거무스름한 생김이 가을볕에 그은 아버지 얼굴 그대롭니다.
잊고 지냈던 산골 풍경이지요.

우리 선조들이 받았던 밥상도 종류가 참 여러가지인데요.
엄마도 잘 몰랐던 소반들의 이름을 알게 되었답니다.
하루 세 번, 따뜻한 밥상과 만날 수 있게 해 주는 소반은
사람이 깃들어 사는 집만큼이나 중요한 살림살이였다고 하네요.
지금은 차츰 사라져가고 있는 소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였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