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을 만난 건 2018년 평화연수 기행에서였다. 여행지로만 기억되었던 아름다운 제주의 속살을 만난 날 하염없이 울었다. 비극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 있음을 느끼게 된 날이었다. 무지가 만들어 낸 철없음을 반성하며 울고 또 울었다. 이유도 모른 채 삶을 마감해야 했던 많은 이들의 삶 앞에 역사를 잊지 않겠다고, 억울함을 알리고 이제라도 올바른 길을 찾아가야 겠다고 말이다. 


그러나 학생들 앞에서 4.3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쉽지 않았다. 세월호, 이태원 사건, 채상병의 사건을 마주하며 학생들에게 슬픔과 비극이 아닌 삶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세월호 이후 수많은 계기 교육을 통해 배를 타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기도 했으니까. 


제주의 4.3은 해방 이후 외로운 섬 제주에서 벌어진 사건이다. 정치적인 사건을 통해 국가의 역할에 대한 조명과 이해가 앞섰다면 ‘동백꽃, 울다’에서는 4.3을 겪은 사람들이 여전히 살아가고 있는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화센터에서 그림 그리기 수업을 통해 옛 기억을 그려내는 왕할망의 이야기는 색을 잃어버린 사람이 색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했고, 옛 기억들을 이야기하며 스스로 자신의 아픔을 치유해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아름다운 제주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역사적 비극이자, 가족과 친구, 이웃을 잃은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왕할망에게 그림을 권하는 손주와 왕할망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 아픔을 어루만지는 손주는 어쩌면 너무나 빠른 세대의 변화를 겪고 있는 우리들에게 삶을 이어주는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건네는 과거의 성찰 어딘가에서 붉은 동백꽃 한 송이가 빼꼼 봉오리를 맺고 있다. 언젠가는 피어날, 또다시 언젠가는 지게 될 동백이 올바른 순간들을 만나게 되길 희망하는 동화. 동백꽃, 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