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근력 트레이닝 - 내 아이 숨은 능력을 깨워주는
이시이 나오카타 지음, 윤혜림 옮김 / 전나무숲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렵지 않은 문체로 쓰여져 읽기는 편했건만 많은 생각을 해야했다.
내 어린 시절도 신체발달 측면에서 한번쯤 떠올려봐야 했고
아이들을 기를 때 과연 어떻게 육체적으로 바르게 키워줄 것인지
추억과 고민을 반복하면서 읽어야 될 책이었기 때문이었다.
아이들에게 체구에 맞는 아령을 쥐어 줘 운동을 시키자거나
일찌감치 스포츠 스타로써 키워 낼 체육계의 동량으로
만들 수 있게 노하우를 전수하는 책이 아닌,
바른 체력을 형성해 가야하는 과정에 놓인
또래의 아이들에게 왜 근력운동이 필요한지와
그렇게 키워놓은 근력이 어른이 되었을 땐
어떤 역할들을 해주게 될지 여러방면에서 조리있게 설명해 놓은 책으로
아이를 둔 부모만 읽으면서 공감할 내용들만 있는게 아니라
운동을 좋아하고 꾸준히 해온 일반 어른들에게도
매우 심각하고 뜻깊게 읽힐만한 내용들이 많았다.
특히 기억나는 부분은 운동을 해서 근력을 기른 아이건 아니건
결국은 자신이 만들어놓은 근육을 이용해 살아가게 된다는
당연한 얘기를 말하는 부분이었다.
왜냐하면, 팔의 이두박근을 움직여 팔을 움직여야 하는 동작을 예로 들자면
몇몇의 근육이 도와 이두근에 힘을 쓰며 팔을 움직이게 되는 원리라고 했을 때
누구는 바른 근육동원으로 필요한 근육만을 적재적소에 잘 쓰겠지만
누군가는 필요한 근육에선 힘의 발휘가 덜되고 본인이 억지로라도
끌어다 쓰게되는 엄한 근육이 생길 수 있게 된다거나
반대로 안써야 하는 근육만으로 큰 힘을 내려는 상황도 있다는 설이였다.
굉장히 고급스러운 운동이론이 주는 가상의 상황이어서가 아니라
자신의 몸이 균형있게 움직이고 있는가를 신경써봤던 사람이라면
언밸런스한 자신의 몸 중 어딘가가 이런 설에 의해
그렇게 길들여졌던건 않았었나 충분히 공감해 볼 만한 내용이기도 했고
자신의 어린시절 무엇이 그런 발달기회를 놓치게 했었나도
씁쓸하고 안타깝지만 되돌어 생각해보게 만드는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스쿼트가 좋은 건 알았지만 아이에게도 몸의 협응력을 길러주기 위해선
일찍 바른 자세로 제대로 시켜야 되겠단 생각이 들었고
해야 할 운동세트 수라는게 어린아이들에겐 1세트가
운동의 전부가 될 수도 있다는 것에서 작은 지식도 얻었다.
싫증 잘내고 운동을 왜 해야하는지 모르는 아이들에게
맞는 운동을 가르치고 꾸준히 시킨다는 건 매우 어려운거 같다.
어른들의 숙제로 남지만 어느 한 아이의 평생을 위해선
매우 필요한 수고로움이란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Hardcover)
Kendall, /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좋은 책은 번역서와 원서의 모두의 필요성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ow Back Disorders: Evidenced-Based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Hardcover, 2)
Stuart McGill, Ph.D. / Human Kinetics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책인데 많이 안 알려졌나?...왠만한 번역서보다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신 근육학총설 2
정희원 지음 / KMFC출판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편과 2편이 뭔가 분위기가 다른네요, 사용된 종이질도 달라졌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육학 기초이론 근의학 신서 2
정희원 지음 / KMFC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총설과 비슷한 부분이 많지만 정리의 개념이 더 강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