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지평선 - 우리가 우주에 관해 아는 것들, 그리고 영원히 알 수 없는 것들
아메데오 발비 지음, 김현주 옮김, 황호성 감수 / 북인어박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론, 이 지평선은 우주의 가장자리가 아니고 우주도 구형이 아니다. 지구의 지평선에서와 마찬가지로,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면 지평선의 둘레도 변할 것이고, 우리는 우주의 다른 영역들을 보게 될 것이다.
(162-163 page)

그런데 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우주가 영원하지 않다면, 빛이 공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 이것은 우리가 우주 전체를 관측할 수는 없고, 한정된 영역만, 즉 빛이 우주가 시작된 때부터 현재까지 이동할 수 있었던 곳까지만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우주에 ‘지평선‘이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동그란 정보의 거품 속에 갇혀 그 지평선 너머는 볼 수 없다. 거품 밖에 또 다른 우주가 있을 거라 추정되지만, 관측할 수가 없다. - P162

우주 지평선의 존재는 빛이 (혹은 기타 다른 신호) 공간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제한이 있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빅뱅 모형에서 138억 년 이전으로는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반면,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우주라면 지평선이 없을 것이다. 이 우주에서는 매 순간 멀리 떨어져 있는 임의의 지역에서 오는 신호를 받을 수 있는데, 이 신호는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충분한 시간 동안 이동해 우리에게 전달될 것이다. - P163

자주 인용되는 아인슈타인의 말 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 "내가 상당한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신이 세상을 창조할 때 선택권이 있었는지다." 물론 아인슈타인은 은유적으로 신을 언급한 건데, 이 문장에 함축된 질문은 우주가 현재의 상태와 다를 수 있었는지를 묻는 것이다. - P230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떤 방식을 동원하든 창조자에 관한 개념을 배제하지 못하는 이유는 우주가 작용하는 기본이 되는 규칙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서가 아니다. 발생하는 모든 것이 기본 입자의 무의미한 충돌이고, 우리의 존재 자체가 무작위의 차별성 없는 비인간적 체계의 우연한 부산물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을 견딜 수 없어서다. - P284

우리는 얼마나 운이 좋은지 깨달아야 한다. 우리는 일관성 있고 증거로 뒷받침되는 우주의 역사를 가진 최초의 인류이니까. 어떤 면에서는 꿈꿀 수 있는 이상으로 우리는 운이 좋다. 우리 선조들이 타고난 호기심 때문에 불타는 듯한 고통을 느끼기 시작한 이후로 수만 년 동안 쫓았던 것이 있다. 갈릴레오부터 아인슈타인에 이르기까지, 우리보다 훨씬 더 뛰어난 사람들도 그것을 본 적이 없다. - P2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