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방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은 리뷰도 독백도 아닌 그 중간쯤의 글이 될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하지만 그걸 리뷰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 독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봅니다.리뷰를 생각해 봅니다. 나에겐 '외딴방'리뷰가 무엇인가? 하고.  

  

   처음에 이 글을 어떻게 읽어야 할 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이것을 사실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픽션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라고. 이것은 비단 글쓴이만의 고민이 아닌 독자에게도 어떤 태세로 글을 읽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그러다 읽다 보니 결론이 스멀스멀 기어나오더군요. 이것이 픽션이든 사실이었든 간에 그것의 의미보다는, 이야기 하는 사람의 마음을 더듬기만 하면 되는 문제였던 것입니다   

- 라고 어리석게 생각했습니다.  

 

  그랬습니다. 초반에는 그렇게 글쓴이의 외딴방이나 들여다 보자-라는 생각만 가지고 이 글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타인의 방만을 훔쳐보는, 남의 마음을 더듬을 생각만 하는 사람은 얼마나 변태적인건가요. 반대로 그런 사람들에게 자신의 옷들을 한 올 한 올 벗겨주는 글쓴이의 마음은 또 어떤 마음이 들까요. 

 

 

   글쓴이는 자신의 외딴방으로 들어가는 듯 했으나, 다른 의미로 들어 갈 수 있는 성장의 과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그리고 변화를 보여주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오랜 시간동안 겉돌던 외딴방에 대한 편입과 동시에 오랫동안 우물안에 자리잡은 쇠스랑을 지상으로 끌어 올리는 작업이었던 것입니다. 이런 일련의 의식의 흐름들을 통해 글쓴이는 마지막에 소리없는 질문은 던집니다.너도 너의 방을 보여주라-고. 너도 너의 외딴방을 들어가라-고. 그리고 변화하라-고.        

  읽고 난 후, 내 고막은 하루종일 글쓴이의 이 질문 때문에 찢어질 듯이 아팠습니다. 아니, 정확히는 가슴이 턱-하고 막혀진다고나 할까요. 지금은 과거가 되버린 과거의 글쓰는 현재 속에서, 글쓴이는  현재로 부터 시작하여 과거로, 그리고 그 과거에서 그 외딴방의 시간으로- 마치 두 선 가운데 현재와 과거를 명명짓는 접점을 향해 느리지만, 선명한 걸음을 옮깁니다. 더 이상 피할 수 없다 -고. 외딴방 너머의 희재언니를 만나야만 한다-고.   이것은 나의 외딴방에서 던지는 물음이 기인된 원인과 모양에는 차이점이 있었지만 본질적으로는 외딴방이라는 점에서- 묘한 동질감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결국 외딴방의 모체는 하나였던 것일까요.  

    사람은 태어나면서 부터 각자의 외딴방을 가지고 태어나는 걸까요. 세상에 외딴방 없는 사람들도 잇는 걸까요. 나는 문득 이 책을 읽고 나서 내 외딴방과 만남을 갖게 하려고 무진 애를쓰는 문장의 소리들을 묵살하고, 이 의문들에 대해  본능적으로 대답거리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만난 내 외딴방- 

그것은 오랜 시간 후, 우연히 그리운 사람과의 만남에서 느껴지는 '무엇'인가와  비슷한 내음새를 풍겼습니다.   

   풍요롭고, 먹을 것 걱정이라고는 하지 않는 우리세대에게도 외딴방은 존재했던 것입니다. 물론 그 방 아래의 주춧돌은 서로 다른 모양은 하고 있으나, 결국은 너무나 뼈에 사무치도록 외로웠던 거지요. 그렇게 내 안에도 존재했던 작은 외딴방 하나.  

    오랜 시간동안 나는 그 방과 만남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글쓴이가 전해준 무수한 문장과 문장사이의 수 많은 행간들은 새벽같이 희미하지만, 밤과 낮에는 보여줄 수 없는 따뜻함으로 이야기 합니다.그리 하라-고, 그래야만 한다-고. 

 

    

 

  이 글은 리뷰도 독백도 아닌 그 중간쯤의 글이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걸 리뷰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 독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봅니다.리뷰를 생각해 봅니다. 나에겐 '외딴방'리뷰가 무엇인가?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