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표 집공부 - 아이와 싸우지 않고 공부하는 격대교육의 지혜
서상완 지음 / 라온북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격대교육'

격대교육이라는 말은 처음 들어봤지만 요즘 부모대신 아이들을 온전히(양육, 학습 등) 봐주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많아졌다는것은 주변을 봐도 알수 있습니다. 예전엔 단순히 양육만을 전담했다면 이제는 할머니들이 공부하시고 배우셔서 아이들의 학습까지 책임지는 경우도 자주 보이거든요. 핵가족화, 맞벌이 시대의 변화가 즐기실 부모님 세대들이 손주들 양육을 책임지시는 거겠죠. 이런 현상이 생기기 전 제가 첫째를 나을때 딱 들었던 생각이 격대교육인데 10년정도 지나니 이런 이야기가 나오네요.


'가족과 공부한다는 것'

친자식인지 알아볼려면 공부를 시켜보면 안다고 하잖아요. 저도 학습관련은 아이가 집에서 하기에 정말 친자식 확인했네요. 그래서 아이의 교육을 집에서 한다는 것은 지식보단 마음이 더 중요하고 마음에 대해서 엄청나게 공부한후에 해야하는데 부모보단 할머니가 이런면에선 너그러워 좀 더 잘될수 있을것같아요. 부모가 한다면 지금 제가 하는 것처럼 감정 공부를 엄청나게 해야 하고 그래도 한번씩 올라오더라고요.


'자기관리, 주도적, 창의적'

전 집공부를 하는 이유는 아이들의 자기관리, 주도적, 창의적을 키우학기에 좋은것 같아서예요. 학원은 지식습득에는 좋지만 주도적이고 창의적이기에 좀 힘든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부모와 아이가 이야기해서 선택을 하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전 <할머니표 집공부>에서 후행계획표가 참 마음에 들더라고요. 항상 미리 계획을 세우라는데 사실 저학년들이 이것을 한다는것이 저희아이만 그런걸수도 있지만 힘들어 하더라고요.


'학습법, 매조천, 속해독해'

아이와 할머니의 마음의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고 그다음 학습법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매일 조금씩 천천히의 매조천의 중요성을 설명해주셨어요. 이부분은 저도 엄청 동의 하는데 저희 아이가 학원을 다니지 않고도 학교 수업을 잘 따라가는 이유가 매조천의 힘이 크거든요. 학습뿐만 아니더라도 루틴을 할때 매조천이 참 좋더라고요. 그리고 처음 들어본 단어가 속해독해인데 사선긋기는 저희 아이도 한동안 해봤는데 효과를 봤고 안구운동도 같이 해보면 좋을것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