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 속담 사전 - 글쓰기가 좋아지는 국어 탐구활동 교과서 교과서 잡는 바이킹 시리즈
은옥 지음, 전기현 감수 / 바이킹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담을 왜 알아야 할까?'

어른들 중에 보면 말을 잘하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특별히 말이 너무 논리적이여서 그렇다기 보단 말을 다채롭고 풍요롭게 쓴다고 해야하나. 듣고 있으면 귀에 술술 들어오는데 이런 분들은 어떻게 말을 잘 할까 생각해보니 길게 말하고 설명해야할것들은 적재적소에 딱 맞는 말들을 사용함으로써 듣는 사람이 바로바로 내용을 연상할수 있게 하는 것 같아요. 이렇게 말할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속담이 딱이 아닌가 싶어요.



'이야기가 있는 속담'

지금까지 아이가 본 속담책은 출판사에서 이야기를 만든 내용으로 구성되어진게 많았어요. 어린아이들이 보기 좀 편한 형태라고 해야하나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 속담 사전>은 우리가 들어봤던 이야기들이 있어서 아이들에게 관련 책도 같이 볼수 있고 해서 더 교육적인듯해요. 이렇게 많은 책을 다 읽어볼순 없지만 이런 내용이 있구나 알려줄수 있어서 더 좋은 것 같고요.


'교과연계'

제가 제일 마음에 드는 부분이 교과연계 부분인데 저희 아이는 국어교과서로 복습을 하다보니 교과서에 나온 지문으로 이야기를 많이 하거든요. 이럴때 속담 이야기도 하면 너무나 좋을 것 같아요. 교과서엔 속담이 안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비슷한 표현으로 다른 속담도 사자성어도, 어휘도 다양한 표현을 알수가 있어요. 그리고 아이들의 경우 배경지식이 없어서 스토리를 모르는 경우도 있는데 설명도 해주어서 속담책 하나로 여러가지 교과 활동을 이해하기가 좋더라고요.


'읽기, 쓰기, 어휘력, 문해력, 자기표현력, 문제해결력, 논리적사고, 창의력'

이런 것들이 속담을 알게되면서 점점 발달하는 것 같아요. 긴 글을 말하기 편한 한문장으로 말한다는 것 자체가 두뇌를 생각하게 하고 적절한 속담을 찾는 거며, 듣는 사람도 속담이 이해가 되기까지 머리는 많은 생각을 하고 다양한 자극이 되면서 특히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