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꾸는 글쓰기 재발견 - 성공하는 사람들의 글쓰기 비법
정연미 지음 / 시간여행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를 하다보면'

최근 다독을 하고 있는 초보 독서가예요. 그냥 책을 읽고 싶어서 아이엄마다보니 양육, 교육 서를 읽었고 그러다보니 뇌관련이나 마음 관련 책도 읽고 싶었고, 요즘 경기가 안좋으니 경제관련책 이런책으로 처음엔 읽고싶은 책이 없다가 점점 읽고 싶은 책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생각을 할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다만 아쉬운건 정독을 하는건 아니라 좀 깊게 읽고싶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래도 아직은 다독을 하고 싶어서 정독은 못하고 있어요. 그리고 정독하기엔 기존 상식이 부족해 읽기 힘든책도 많고요.


'글이 쓰고 싶다'

이렇게 책을 읽다보니 뭔가를 남기고 싶었어요. 책 내용도 좋고 서평도 좋고, 책읽고 난 후 경험 같은것도.. 머리에만 기억하긴 한계가 있고 아쉽기도 했거든요. 그러다보니 글쓰기라면 너무 싫어했던 제가 글쓰기 책들에 기웃거리고 있어요. <세상을 바꾸는 글쓰기 재발견> 책을 보면서 글쓰기란게 내가 생각했던 지루한 글쓰기가 아니구나 책표지에 나온 과학이란말이 잘어울리는 책이였어요.


'데이터의 분석'

글을 쓰기 위해선 관찰을 많이 해야한데요. 하지만 사람의 관찰은 한계가 존재하는것도 이해가 되고 그러다보니 요즘 글을 쓰는 사람들은 데이터를 읽고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해요. 글쓰기라면 그냥 서론, 본론, 결론 이런것만 생각했는데 데이터를 분석하다니요. 제가 최근 제 직업쪽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는 방향으로 바꿔볼까 생각했는데 글쓰기에도 필요하다니 뭔가 직업과 새로운 도전을 할수 있을것같은 생각을 했어요.


'다양한 글쓰기 연습방법'

글을 쓰기 위해서는 글쓰는 방법을 제대로 배우는것이 좋은 방법같아요. 그래서 하버드와 스탠퍼드에서는 글쓰기 수업을 필수로 하며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우리가 하버드나 스탠퍼드를 다닐수는 없으니 논리, 생각하기, 한계극복, 데이터 저널리스트, 인간탐구, 창조적 긴장 등 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글쓰기를 연습하거나 글쓰기의 거장들을 따라 쓰는것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글쓰기를 할수 있다는 것을 보면서 저도 조금씩 더 생각해서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