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 뇌인지과학이 밝힌 인류 생존의 열쇠 서가명강 시리즈 25
이인아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를 알고 싶다'

최근 아직은 너무나도 잘 모르지만 뇌를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감정조절이나 감정코칭 등을 아이들에게 적용하는데 너무 어렵더라고요. 단순히 노력만으로 하기엔 너무나도 잘 안되었고 배우면서 이해를 하면 적용이 더 쉬울것같아서 감정 쪽은 뇌와 연결이 되어있으니 뇌에 대해서 더 많이 알면 아이들을 더 잘 키울수 있을까 싶어서 관심이 생겼어요. 그러다 <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목차를 보는 순간 궁금해지면서 읽게 되었어요.


'뇌의 구조'

뇌는 고등인지, 문제해결, 행동통제, 의사결정을 하는 전두엽, 연합지각, 공간지각 및 운동, 수 개념 및 인지 하는 두정엽, 시각 후두엽, 운동(군형, 타이밍) 소뇌, 청각,언어, 서울적 기억, 재인, 회상의 측두엽으로 되어있는데 어린 아이들은 전두엽 발달이 아직 안되어 많은 부분에서 어른들의 도움이 더 많이 필요한것 같아요. 뇌의 세포는 뉴런이라고 하는데 뉴런과 뉴런이 시냅스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면서 뇌가 잘 돌아간다고 해요.


'뇌가 학습 하는 이유'

뇌는 왜 학습을 하는지에 대해 궁금했는데 진화론적으로 설명이 되어있었어요. 생존을 하려면 그때 그때에 맞게 적응을 하고 배워야 계속 같은 행동을 반복하지 않고 더 발전할수 있어서 이렇게 진화가 됐다고 나왔어요. 하긴 뇌가 고정되어 태어나면 걷고, 말하고는 바로 할수도 있겠지만 환경적 변화에 적응을 못해서 생존하기 힘들거예요. 지금은 인공지능이다 뭐다 하고 있는데 예전처럼 사냥을 한다고 생각하면 이래서 뇌는 계속 학습을 하도록 유연하게 만들어졌나봐요.


'앞으로의 뇌과학에게'

장수가 누군가에겐 행복이지만 어느 누군가에겐 치매라는 병으로 인해 참 고통이 되는 것 같아요. 어느정도의 기억 소실은 이해가 가지만 아기처럼 되어버리는건 정말 마음이 아프거든요. 뇌과학이 점점 발달하고 아는 것도 많아지면 치매라는 병도 약을 먹거나 시술을 통해 이왕 사는거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어요. 이런부분에서 뇌과학이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