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수학자가 될 거야 BBC 과학 프로그램 진행자인 시니 소마라 박사가 들려주는 직업 이야기
시니 소마라 지음, 나자 사렐 그림, 박정화 옮김 / 바나나북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직업의 세계'

우리 아이들 원하는 직업이 있을까요? 저희 아이들도 경찰, 군인, 파일럿, 의사, 과학자, 마켓사장님 등 다양한 직업을 원했어요. 하지만 아이들이 아는 직업의 세계는 좀 한정적인 아이들에게 보여주기 편한 직업들이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좀 더 많은 직업의 세계가 있는데 수학자, 프로그래머, 엔지니어, 변호사 같은 직업은 좀 어린 아이들에겐 설명하기가 힘들어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거든요. <나는 수학자가 될 거야> 그림책을 보니 아이들에게 학자 등 좀 설명하기 어려운 직업들에 대해서 보여줄수 있을 것 같아 같이 읽어보고 싶었어요.


'수학을 왜 배워야할까?'

초등 아이와 수학 복습을 할때 아이가 하기 싫어하거나 짜증을 낼때가 있는데 이럴땐 수학을 왜 배워야 할까? 라는 질문을 하곤해요. 아이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지만 아직 어린아이라 뜬금 없는 이야기가 많은데 <나는 수학자가 될 거야> 그림책을 보며 수학의 다양한 쓰임을 이야기 나눌수 있었어요. 미취학 아이도 분수 개념을 이해할정도니 수학이란 우리에게 친근한것이 맞는 것 같아요.


'수학 용어의 정의'

수학이란 학문은 약속이라고 볼수 있는데 어떤 약속인지도 모른채 그냥 하다보면 문제가 생기는 것 같아요. 수학 용어의 약속을 정의라고 할수있고 책에 정의가 아이들 수준에서 쉽게 나와서 아이들이 이해하기가 좋았어요. 예를들면 각도는 서로 만나는 두선 사이의 벌어진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 도단위로 측정이라고 나와있는데 학자들이야 귀납법적으로 사고를 하지만 아이들은 아직어려서 이렇게 알려주고 개별을 보는 연역법적이 더 맞는것 같아요.


'수학 잘 다루기'

수학을 어떻게 하면 잘 다룰지 생각해볼수도 있는데 그림책에서는 시간계산, 돈이나 수 세기, 모양 측정 등을 예로 들었는데 아이들과 재미난 게임도 할수 있고 아이들에게 어떤 게임이 좋을지 생각을 해보게 해도 좋을 것 같더라고요. 수학을 좋아하기 위해선 가장먼저 아이가 수학을 싫어하면 안되기에 그림책과 게임 등을 이용해서 즐기게 하는 방법을 계속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