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
심활경 지음 / 쌤앤파커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배맘의 이야기'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 책 제목을 봤을 때 아이들을 어떻게 키웠을지 궁금했다. 한명도 하닌 3명이 하버드를 입학했다는건 아이들이 타고난 것도 있지만 가족안에서 뭔가 있을거라 생각하기에 어떻게 아이들이 동기부터하고, 자기관리하고, 공부법은 어땠는지 부모는 어떻게 알아내고 지원해주고 관계를 형성했는지 부모의 태도 또한 너무 궁금했기 때문이다. 하버드를 위해서가 아닌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아이들을 키우기위한 선배맘의 가치관과 교육관을 알고싶어 읽게 된 책이다.


'아이마다의 속도'

아이들을 두명이상 키우신 분들은 대부분 아실거다. 내 뱃속에서 나았는데 둘이 왜이렇게 다른건지 장점만 섞어놨음 좋겠다 싶을 정도로 아이들마다 성격도 음식취향, 취미, 발달도 속도도 다 다르다. 이럴 때 부모입장에서 느리고 예민한 아이는 걱정이 되면서 다그치고자하는 마음이 생긴다. 하지만 기다려줘야한다. 아이마다 다르기에 이아이가 언제부터 잘할지 어디까지 잘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부모는 기다리면서 긍정적 피드백을 주며 기다려야 한다.


'큰 자유도 울타리가 필요'

양육공부를 하면서 알게된 점이 통제안해서의 자유이다. 이말은 부모의 권위가 꼭 필요하며, 이 권위를 바탕으로 아이들은 부모의 통제안에서만 자유를 누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상은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에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면서까지 자유를 누릴수 없기에 아이들을 어렸을 때 부터 이점을 명심하고 키워야 한다. 아이 셋을 키우면 부모의 권위가 더 필요로 한다. 그래야 집안에 규율이 지켜지고 가족같에 평화가 오기 때문이다. 아이가 안스러워서 그냥 두면 아이는 나중에 다른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사람이 된다.


'놀면서 공부하기'

많은 부모님들은 놀면서 공부하는것이 말이되나 할수도 있다. 재미있게하고 싶어하는 것이 공부면 되는데 공부가 재미있어지기 위해서 잘해야하고 잘해야하기 위해서 어느정도 노력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이 없기에 책이던 공부던 환경을 만들어주고 노력할 때까지 아이를 도와주면 되는 것 같다. 우리 아이도 공부를 좋아하는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싫어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반에서 잘하는 편에 속한다고 생각하기에 꾸준히 하고 싶어하는데 계속 노력을 부모와 같이한 결과가 아닌가 싶다. 선배맘의 이야기를 보면서 느끼는 점이 많이 생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