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을 키우는 초등 관용구 - 초등 교과 과정과 연계한 우리말 관용구 100가지를 재미있게 배워요! 문해력을 키우는 초등 시리즈
정가영 지음 / 경향BP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해력이 왜 필요한가?'

요즘 문해력 문해력 하잖아요. 문해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학습 평가가 암기식에서 사고식으로 변화하면서 글을 읽고 이해를 해야 사고를 할 수 있어서 더 요구되기도 하고, 4차산업시대인 만큼 기존의 것들을 이해해야 융합할수 있기에 더더욱 문해력을 요구하는것이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요즘은 초등학생 때 부터 문해력을 키우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있어요.




'관용구를 통해 어휘력 쌓기'

최근에 이런 저런 책을 보거나 문해력에 대해 학습을 했을 때 문해력을 키우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중 하나가 어휘력을 키워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어휘력은 그냥 단어와 단어뜻 외운다고 늘릴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사용을 해야 그것이 진정한 어휘력인것같아요. '돌리다'라는 어휘가 있고 돌리다는 물건을 돌리다로 외워버리면 어휘력이 좋다고 볼수가 없어요. 어떤 곳에서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야만 어휘력이 높은 거예요. 관용구를 통해 쌓는 방법도 좋은 것같아요.




'관용구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 키우기'

의사소통과 관용구가 무슨 상관인가 하시는 분들도 계실거예요. 아이를 키우며 알게된 한가지가 사회성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능력은 국어능력과 꽤 연관이 있고 관용구 또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기에 이것을 모르면 상대의 말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 사회성을 키우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았어요. 친구들과 대화를 하다가 한친구가 'A는 참 귀가 얇은 것 같아' 이랬는데 우리아이가 친구의 귀를 만져보면서 안얇은데 이러면 과연 친구들은 어떤 반응일까요.




'초등교과연계인 관용구'

초등학교 교과서엔 많은 지문들과 대화가 있는데 수업시간은 한정적이라 지문에 나오는 어려운 어휘나 관용구들을 선생님들이 따로 설명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때 집에와서 아이들이 찾아보면 좋은데 그런아이들이 들물잖아요. 그래서 <문해력을 키우는 초등 관용구> 책을 보면 초등학생들이 알아야하는 정도는 나와있으니 좀 더 학교수업을 따라가기 좋은 것 같아요. 전 하나씩 보고 아이들에게 써볼 생각이예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