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하는 날 봄봄 아름다운 그림책 105
안덕자 지음, 이윤민 그림 / 봄봄출판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희집 아이들만 그럴까요. 굿이란걸 보지도 듣지도 못해봤거든요. 강릉 단오굿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로 지정되는 다는 사실도 <굿 하는 날> 그림책을 보고 알았어요. 굿에 관심이 있는건 아니지만 문화중 하나니 아이들과 같이 이야기해봐도 좋을것같아서 그림책을 같이 보고 이야기 나눠봤어요. 예전에 강릉에 갔을 때 바닷가에서 굿을 할때 왜 여기서 이러지하면서 이유를 몰랐거든요. 어른인 저도 그랬는데 책을 보면서 바닷가의 문화를 아이와 나눌수 있었어요.


아이랑 책을 같이 읽으면서 많은 단어를 같이 이야기 해봤어요. 아직 어린 아이들이기에 버선, 아무 탈 없이, 화랭, 괘자, 덕 등 많은 단어들을 아이들이 이해를 못해 대화를 나눴거든요. 심지어 어른인 저도 모르는것이 많았더라고요. 이런 대화를 통해서 나중에 아이들이 책을 읽을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것같아요.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는 내용은 용왕신과 산신이였어요. 아이가 용왕신은 왜 무서울까하고 의문을 갖더라고요. 바다에는 무서운 동물들이 많아서 더 무섭게 생겨야 그들을 다스릴수 있지않을까가 저희의 생각이였고, 용왕신과 산신이 만나기만 하면 싸운다고 화해굿을 한다기에 우리 아이들도 화해굿을 해야하나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전 굿이라는것이 목적 하나를 두고 하는 줄알았는데 <굿 하는 날> 그림책을 보니 풍어, 풍작, 태평과 다른 신들을 위해서도 기도를 하는것이 축제가 될수 있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강릉 단오굿이 될만한것이 아닌가 싶어요. 다음에 아이들과 같이가서 국밥도 먹고 덕담도 듣고 복을 많이 주신 신들에게 인사도 하고 오고싶네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