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봐요! 복작복작 서울에 사는 동물들 - 사람만이 전부가 아닌 도시 동물 도감
백조은.이연우 지음, 이유진 외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이나 아이나 아는 만큼 보이는 것 같아요. 동물에 대해서도 관심 없이 살면 그런가보다 할 수 있지만 아이들 때문에 어쩔수 없이 알게되고 찾아보게 되니 동물들에 대해서 궁금증도 생기고 관심도 가게 되었어요. <찾아봐요! 복작복작 서울에 사는 동물들> 책에서는 멧돼지와 비둘기는 왜 유해 야생 동물로 보는지, 우리나라에서 호랑이, 여우, 따오기가 사라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등 아이들에게 여러가지 질문을 해요. 이렇게 동물들에 대한 질문을 들으면 관심없던 사람도 생각이란것을 해보게 되는 것 같아요.


동물도감이라 미취학 아이도 그림보고 이야기하는 재미로 관심있게 봤어요. 다양한 동물들이 나와서 도감 처럼 찾아볼수 있는데 전 집비둘기를 찾아봤어요. 도대체 왜이렇게 많은 건지, 좀 없어지게 할 수는 없는건지... 떼로 몰려다니면 좀 힘들거든요. 비둘기가 많아진 이유는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개막식에서 비둘기를 놓아준 뒤로 서울의 비둘기 개체 수가 계속 증가했데요. 서울에만 약 50만 마리가 산다네요.


놓아준다해도 다 이렇게 잘 살수가 있는 건 아닌데 비둘기는 뛰어난 적응력과 가리직 않고 먹는 식성이 있데요. 천적도 많지 않고 건물이나 나무에 살수있으니 도시에서 살기가 비둘기는 편한거예요. 이런 비둘기가 유해 야생 동물로 지정이 됐는데 전 그냥 너무 더러워서 그런가 했거든요. 알고보니 비둘기의 똥과 털 날림으로 문화재와 건물이 훼손되자 유해 야생 동물로 지정했나봐요.


전 저희 동네 천에서 보이는 학이 학인줄 알았어요. 그런데 학이라고 불리우는 두루미는 우리나라에서 만나기 힘들다네요. 중대백로라고 해요. 도시에 살다보니 <찾아봐요! 복작복작 서울에 사는 동물들> 책을 보면서 이렇구나 하는 것들이 많고, 천, 산, 강 등을 가게되면 아이들과 함께 찾아볼 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