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ㅣ 과학 품은 전래 동화
이지민 지음, 김윤정 그림 / 풀빛 / 2022년 4월
평점 :

요즘 아이들의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 아이들에게 어떻게 질문을 할까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있어요. 그럼데 저부터도 호기심이 별로 없던터라 이야기를 전달만 할뿐 어떤 질문을 해야할지, 어떤 이야기를 나눌지 고민이 많이 됐어요. 그런데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책을 보면서 전래동화를 보면서 이런 이야기도 나눌수 있겠구나. 이런 질문을 해도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전래동화랑 과학을 연결 시킨다는 생각은 전혀 해본적이 없거든요. 이래서 사람은 책을 꾸준히 봐야 사고가 확장 되는 것 같아요.

어른들도 사고가 확장된다면 아이들도 마찬가지로 이런 사고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면 나중에 이야기 책을 읽을 때 호기심과 궁금증을 가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책에서는 6개의 전래동화 이야기인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토끼전, 요술 맷돌, 흥부와 놀부, 혹부리 영감, 요술 맷돌, 설문대 할망이 나와요. 대부분의 이야기가 아이들에게 익숙한 이야기라 읽으며 좀 더 궁금증을 가질 것 같아요.

전 요술 맷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려고 해요. 요술 맷돌은 아시다시피 도둑이 임금님의 소금을 만드는 요술 맷돌을 훔쳐 배를 타고 달아나다가 멈추는 말을 기억을 못해 결국 물에 빠지고 요술 맷돌이 지금까지 계속 바다에서 돌고있어 바닷물이 짜다고 해요. 항상 이야기는 여기서 마무리였는데 아이들에게 이렇게 질문해보면 어떨까요? 정말 요술 맷돌 때문에 바닷물이 짠걸까? 더 나아가서 추운 겨울에도 바닷물이 잘 얼지 않는 이유는 뭘까?

이렇게 전래동화로 시작해서 과학이야기까지 할수 있다는게 아이가 생각하게 하면서 사고력을 키워가게 하는 방법이 아닐까 싶어요. 부모세대인 저희가 어릴 땐 사고력이런게 중요하지 않아서 사실 요즘 아이들 키울때 어떻게 코칭해야할지 모르겠는데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같은 책을 보며 배우게 되는 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