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해봤어? - 내일을 바꾸기 위해 오늘 꼭 알아야 할 우리 시대의 지식
노회찬.유시민.진중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세월호 사건 이후 정치적인 일들은 듣기도 싫어 졌었다. 바로 되는건 없는것 같고...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직도 보수집단이 지지를 받는지.
나쁜짓을 한 사람들은 왜 벌 받지 않는지... 내가 신경 끄면 덜 열받을 텐데...뭐 이러면서...그러면 안되는 거지만 세월호 사건 이후 맥이
풀려버렸다고 해야 하나...
교보 문고에서 어슬렁 어슬렁 거리다가 눈에띈 책이다. 이들의 팟케스트를 몇번 들었던 적도 있고 그래서
이사람들은 어떻게 생각 하나 싶어서 사왔었다. 그리곤 또 한참을 뒤적 뒤적 하다가 이제서야 읽었다.
내일을 바꾸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 그리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참..답답한 세상에서 우리는 어쩌면 좋을까...
싸우고 부딪치고
터지고 곪고 그래도 변화하고 있지 않는것 같은 느낌이다. 물론 조용히 있는 내가 부끄럽기도 하지만 응원해야지...내자리에서 티나지 않아도 할수
있는것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해봐야 겠다.
노화찬 진중권 유시민 이들의 생각이 다 맞는것 같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나라를 그리고 국민을
아끼는 마음이 느껴졌다. 언젠가 진보가 이기는 날이 오겠지. 진보가 이기면 보수가 되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지도 고민해야할 문제이다. 너무
멀리 갔나... 그래도 끊임없이 질문하고 고민해야 한발짝 앞으로 진보 할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더이상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지
않는 힘을 신뢰할 수 없다. 프란치스코 교황
평화는 곧 안보인데요. 요즘 대한민국은 안보가 안 보입니다.
왜 우리는
사소한 일에만 분노하는가. -박완서
세상을 바꾸는 약속 이 아니라 약속을 바꾸는 세상 이에요.
좋은노동 제대로된 고용과 함께 복지를
이야기 할때 건강한 해법이나올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40 50대 노동자를 자르면 경영 효율화 구조조정 이라고 하지만 독일에서는 기업의
노하우 상실이라고 한다. 경제를 누가 이끄느냐에 대한 관점의 차이.
적자생존에서 적은 fit 적합성을 의미한다.
인간은 원래 관성의
법착에 지배받기 때문에 보수적잉 수밖에 없다. 혁신을 한다는 것은 사고방식과 생활 태도를 바꾸는 것이라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 특히 정신적인
에너지가. 고로 오늘을 살기가 벅찬 사람들은 그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계속 보수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