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무리 GD 시리즈
닉 페인 지음, 성수정 옮김, 구현성 그래픽 / 알마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닉 페인의 희곡 <별무리>는 재밌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희곡은 커플의 대화를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커플의 대화가 끝나면 같은 대화가 비슷하게 되풀이 된다. 그것이 끝나면 비슷한 대화가 또 되풀이 된다. 커플의 대화 하나로만 보면 대화는 끝난 것이지만, 그 다음에 비슷한 대화가 이어지니 대화는 끝나지 않은 것이 된다. 대화의 끝을 개체의 죽음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대화의 끝(개체의 죽음)은 다른 대화의 시작(개체의 탄생)으로 연결되니, 크게 보면 대화(개체)는 죽지 않은 것이 된다. 희곡 속에서 한 인물의 죽음이 예견되지만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희곡이 정녕 말하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불멸일 것이다.

 

별의 생애가 그러하다. 죽음과 탄생이 이어지면서 성장한다. 별은 소멸한 뒤 다른 별의 재료가 된다. 별은 죽지만 다른 별은 태어나니 우주 전체로 보면 별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산다. 희곡에는 <별무리>라는 제목이 붙어 있고, 인물의 직업은 천체물리학자이다. 닉 페인은 이런 설정으로 탄생-죽음-탄생-죽음-탄생->불멸이라는 의미를 암시하려고 한 듯하다.

 

보르헤스도 이런 식으로 글을 썼다. 보르헤스의 글쓰기 특징은 다시쓰기인데, 보르헤스는 완결된 과거의 작품을 다시 써서 새롭게 완결시켰다. 다시 쓰고 다시 쓰는 식으로 보르헤스의 문학은 나아갔다. 보르헤스는 죽음을, 하나의 삶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삶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봤다. 보르헤스한테 삶은 다른 삶으로 이행되며, 불멸한다.

 

5년 전 닉 페인의 <별무리>가 한국에서 초연되었을 때(5년 전에 공연을 못 봐서 너무 속상하다...) 류주연 연출가는 기자간담회에서 공연을 이렇게 소개했다고 한다. 심장질환을 앓던 아버지가 사망한 뒤 닉 페인은 물리학자의 다큐멘터리 우아한 우주'(Elegant Universe)를 우연히 접했고, 그때 양자 평행우주이론에 심취해서 이 작품을 썼다고. 닉 페인은 아버지를 애도한다. 별이 그러한 것처럼, 보르헤스가 그러한 것처럼. 아니나 다를까 희곡 속지에는, “미나에게, 그리고 이 희곡을 아빠에게 바칩니다.” 라고 쓰여 있다. 굉장히 좋은 작품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