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하지만 할머니 상상 그림책 학교 16
사노 요코 지음, 엄혜숙 옮김 / 상상스쿨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하지만 할머니> 따듯하게 우리에게 마음만 먹으면 있다는 응원의 메세지를 준다.  


글과 그림, 전반적인 분위기와 캐릭터들의 표정에서 따뜻함과 잔잔한 미소가 지어지는 책이다. 작가는 많은 할머니들이 있는 마을에 살게 되고, 활기차고 가끔은 발랄한 심술을 부리는 매력적인 하숙집 주인 할머니와 친구가 되며 할머니들을 바라보았던 시간들을 아름답게 추억한다. 따뜻한 시선이 책에 녹아든 작가가 캐릭터들을 바라보는 ,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 모두 따뜻한 응원과 다정하고 잔잔한 즐거움을 준다.


할머니는 아주 건강하지만 자신이 늙은 할머니이기 때문에 이것도, 저것도 없다고 언제나 고개를 가로젓고 하고 싶은 (물고기 잡기) 하는 고양이를 부러워만 한다. “나이가 많아서..” “이제는 너무 늦었어..” 라고 이야기하며 하고 싶은 일을 미루고 포기하는 어른들이 떠오른다. 하지만 할머니의 부러워 하는 마음 안에는 아직하고 싶다 열망이 숨어 있고, 생일 초를 세야 생일 기분이 난다며 콧노래를 부르며 생일을 준비하는 면에서 생일날을 기대하는 어린아이같은 마음도 보인다. 


그런데 고양이가 생일 초를 냇물에 빠뜨린 바람에 케이크에 초를 하나, , , , 다섯, 5 꼽고, 할머니는 5살이 된다. 5살이 되어 뭐든 있게 99 할머니의 천진하고 즐거운 하루를 따라가면 “5살이니까!” 라며 낚시도 가고, 꽃이 들판을 뛰어다니고, 냇물을 껑충 뛰어넘으며, 냇물에서 첨벙거리며 물고기를 잡고 씩씩하게 마음먹은 대로 행동하며 논다. 마음이 어려지니 예쁜 꽃도 보이고 꽃향기도 느껴진다. 새가 , 물고기가 자유롭다. 작가는 우리들에게 부디 이런 어린아이같은 천진함을 잃지 말고 아름답고 즐거운 세상을 즐기라고 말하는 같다. 


마지막에 할머니는야옹아, 내가 이제야 5살이 되었나 모르겠구나. 내년 생일에도 초를 다섯 사렴.”이라며 활짝 웃는다우리는 마음만 먹으면, 시도한다면 뭐든  있다는 응원 받는다. 


책의 하나의 묘미는 반복에 있다. “하지만…”, “하나, , , , 다섯”, “아참 그렇지!”, “5살이 되니 ~ 같아 반복적인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특히 아이들과 함께 읽을 읽는 재미를 준다. 특히아참, 그렇지! ~해도 되겠네!”하는 부분의 반복은 아이들에게 나도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


나는 책을 새로운 시작을 망설이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모든게 새롭고 즐거운 모험하는 어린이들에게, 그리고하지만..”이라며 나이 때문에 하고 싶은 것을 포기하고 사는, 이것도, 저것도 못한다고 버릇처럼 말하는 할머니의 모습과 닮아 있는 우리 어른들에게도 추천한다. 마음을 바꾸면 나의 세상은 완전히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썽꾸러기를 위한 바른생활 그림책 - 0~3세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33
배빗 콜 지음, 김향금 옮김 / 보림 / 199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썽꾸러기를 위한 바른 생활 그림책> 모든 것이 궁금하고 재미있는 말썽꾸러기 아이들의 행복한 모습과 이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유쾌하게 그려내고 있다.


베벳 콜의 그림책들은 공통적으로 엉망징창, 유쾌발랄한 이미지로 고정관념을 깨는 도발적이고 능청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작품 역시 <말썽꾸러기를 위한 바른 생활 그림책>이라는 제목과 대조적으로 배경은 온갖 이미지들이 무질서하게 그려져있고, 원작의 제목 <The BAD good manners Book>에는 BAD라는 글씨만 핑크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표지에서부터 어떤 엉뚱한 내용들이 웃음을 기대하게 만든다.


텍스트에는 제목처럼 하면 것들과 해야 것들이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그림은 대조적으로 말을 듣지 않고 맘껏 자기 마음대로 하는 말썽꾸러기 아이들이 그려져 있다. 베벳 특유의 그림 스타일과 디테일 하나하나가 감탄이 나올 만큼 섬세하고, 곳곳에 깨알같은 재미를 찾을 있는 요소들이 숨어 있다. 책을 보는 아이들은 내가 못하는, 혹은 하고 나서 혼이 장난들을 마음껏 하는 작품 아이들을 보며 통쾌함과 즐거움을 느낄 것이다. 


거의 끝부분에다른 사람이 너에게 주었으면 하는 대로, 그대로 해봐… (Do as you would be done by …)” 라는 글과 함께 아이가 스케이트 보드를 타며 손에는 화병과 티세트, 머리 위에는 씨리얼과 토스트기를 올리고 엄마아빠 방으로 들어가다가.. 그대로 걸려서 모든걸 쏟고 침대 위로 쓰러진다. “ 하려고 했는데!”라며 우는 아이를 엄마아빠는 미소지으며 따듯하게 안아주고 있다. 네가 아무리 말썽피우고 엉망으로 만들어도 엄마아빠는 너를 사랑한다는 작가의 따뜻한 시선을 찾아 있다.


장난치고, 엉망으로 만들고, 하지 말라는 것들을 하는 아이들의 얼굴은 누구보다 천진하고 행복해보인다. (그것을 지켜보는 어른들은   썩겠지만) 아이들은 행복하다. 그리고 아이 답다. 전혀 주늑들어 보이거나 눈치보지 않는다. 바로 뒤에 엄마가 뒷짐지고 있어도, 째려봐도 마냥 즐겁고 장난끼 가득한 표정이다. 아이들이 이렇게 웃고 장난칠 있는 데에는 이를 허용해주고 사랑해주는 부모님, 그리고 같이 웃으며 장난쳐주는 부모님이 있어서가 아닐까? 


나는 책을 마음껏 장난치는, 그리고 그러지 못하는 모든 아이들에게, 말썽꾸러기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님에게, 그리고 삶의 무게에 지쳐 장난이라곤 모두 까마득한 옛날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65
강경수 지음 / 시공주니어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민해결사 펭 선생님> 유머러스한 반전을 가지고 있다. 펭귄선생님에게 동물들은 고민을 쏟아 내고 펭귄선생님을 칭찬하며 행복하게 돌아간다. 하지만 반전, 오후 6 정각, 펭 선생님은 귀마개를 빼고 집으로 돌아간다. 펭귄 선생님이 귀마개를 빼는 장면에서이게 뭐야하며 푸흐흐 웃음이 터졌다. 하지만 동시에보람찬 하루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간펭귄 선생님을 보며 씁쓸한 기분으로 책을 덮었다. “그래서.. 책은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달하는가?”  


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해결하지 못하는 많은 고민으로 걱정하는 사람들이 펭귄 선생님처럼 말없이 고민을 들어주는 존재에게 이야기하는 것으로 마음이 편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책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 펭귄 선생님을 찾은 동물들이 한참 동안 털어 놓는 고민들은 자신들의 본성과 관련된 것으로 고민들은 어쩌면 동물로 태어난 이상 해결 없는 것일지 모른다. 인간인 우리 또한 지금 당장 해결할 없는, 가끔은 고민 자체가 쓸데없어 보이기도하는 고민들을 한다. 하지만 고민의 과정에서, 고민을 다른 사람과 함께 이야기하고 나누는 과정에서 무언가를 배운다. 누군가에겐 쓸데없이 보이더라도 자신에게는 고민을 하는 시간이 필요한 간인 것이다.


또한 우리는 누군가가 말을 충고나 평가 없이 들어주길 원한다. 마음 털어 놓을 없고 진정으로 소통 하지 않는 사회에서 그렇다. 하지만 경청이란, 그리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주는 것은 그저 영혼없이 끄덕이는 것이 아니다. 펭 선생님과 함께한 시간을 뒤로 동물들은 행복하게 떠나지만 이들이 나눈 것은 대화가 아니다. 내내 귀를 막고 있었던 펭 선생님이 일도 경청이라고 없다. 오히려 소통의 부재, ‘하는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라면 모를까.


상담과 상담사에 대한 작가의 이해가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작은 상담실 창문으로 빼꼼 들여다보고 있는 동물들은 귀엽다. 하지만 상담실은 본래 내담자가 온전히 자신의 고민을 맘편히 나누고 이야기할 수도 있도록 프라이빗하게 비밀이 보장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담사는 그저 들어주기만 하는 인형같은 존재가 아니다. 내담자의 말에 진심으로 경청하고 내담자의 성장을 함께 고민하고 응원하며 지지하는 존재이다. 책을 읽고 어린이들과 성인들이 상담사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게 될지 걱정이 된다. 그리고 귀마개를 빼는 펭귄 선생님을 보며 아이들이 진심으로 들어주는 것에 대해, 대화와 소통에 대해 무엇을 생각 있을지 모르겠다.


나는 고민을 위한 고민을 하며 머리가 지끈지끈한 성인들에게, 고민에 귀기울여 공감해주지 않고 충조평판(충고,조언,평가,판단) 하는 성인들에게 책을 추천한다. 그러나 상담사가 펭귄 선생님 같이 들어주는 척하는 사람이라는 오해는 마시라는 당부의 말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