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PEOPLE LEARN 하우 피플 런 : 러닝 이노베이션, 학습혁신전략
닉 섀클턴 존스 지음, 오승민 옮김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ow people learn>

이 책은 학습에 대한 이야기이며, 누구를 위한 교육인가~
라는 교육,학습, 멘토링에 대한 책이다.

📚학교를 다니면서 학습하는 공부하는 것은 대부분 기억해내는 공부에 해당한다. 이 책에서 나온 바로는 학습자의 관심에 따라 그들이 무엇을 기억하고 어떻게 기억하는지를 결정한다고 한다. 이런 무의식적인 과정은 ‘기억의 결과에서 행동과 능력의 변화로도 나타난다. 기억은 ‘경험에 대항 정서적인 반응을’
인코딩 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경험이 재구성 될수도 있다.

⭐️이 세상에서 올바른 일이란 어떤것이 있을까요~
우리의 뇌는 올바른 일이란 질문에 그게 무엇이든 간에 올바른 일처럼 느껴지는 것을 하는 것 이라는 답을 준다. 이스라엘 판사들이 내린 1000건 이상의 평결을 조사결과로 보통은 하루가 시작될때나 휴식 직후에 관대항 평결이 내려질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고 한다.

P101
어떠한 복잡한 질문에 대해 겉으로는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이 느끼는 방식을 참고해 대응하는 경향을 가르켜 대니얼 카너먼은 ‘대체 원리’라고 불렀다. 본질적으로 복잡한 논리적 질문에도 자신이 느끼는 방식을 사용해 답하며
이를 논리적인 것처럼 제시한뿐이라는 것이다.

뭔가 뜨끔했던 구간 이였다.
분명 이성적으로 대입하지만 결국엔 감정적으로 작동한다.

📚이 책에서 로봇이 교사를 대체할 수 있는가?
교육자들의 역할, 학습 설계방식

풀과 푸시 방식
풀-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리소스를 구축하는 것,
궁극적으로 학습을 줄임으로써 성과를 향상할 수 있다.

푸시-경험을 디자인 하는 방식, 정서적으로 영향을 줄수있다.
개인이 어디에 더 관심을 두는것을 분석해서 시작해야 한다.

학습과 일을 통합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관찰의 문제이다. 그 다음은 할 일에 대항 단계별 조언이다. 미래 학습 조직은 학습보다는 경험과 성과 중심으로 초점을 맞춰야 한다.

고정관념에 얽매이는 사고방식을 버리는 일
학습은 정보를 사람들의 머리로 전달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호흡과 마찬가지로 학습은 학습자의 역할이다. 그것을 대신해줄순 없지만 배울수 있는 경험과 자원은 제공해 줄수 있다.

교육,학습에 대한 개인,기업이 어떠한 혁신을 가져야 하는지
잘 이끌어주는 길잡이 같은 책이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상세하게 찾아보자.

-이 책은 플랜비디자인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임을 알려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