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호랑이 책 - 그 불편한 진실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2
이상권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랑이... 책 표지만 보고도 뭔지모르게 읽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어떤 불편한 진실이 숨어 있을까요?



호랑이.

그 단어부터가 예전에 우리나라에서는 '범 호'를 따서 그냥 '범'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일본이 조선을 합병하자마자 '범 호'자에다 '늑대 랑'을 결합시켜서 호랑이라고 부른것 이라고 합니다.

호랑이들 입장에서는 범을 늑대와 같은 동물 또는 혼혈종으로 취급했다는 뜻으로 불쾌하게 생각했을 수도 있을거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호랑이 이름부터가 불편한 진실이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호랑이는 88올림픽 마스코트, 옛날이야기속 호랑이, 한반도 모양,백두산 호랑이,그리고 과연 옛날에는 우리나라에 있었다고 하던데 진짜일까? 이런 생각이 뿐이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불교라 생명을 함부로 죽이지 못해 호랑이 사냥은 극소수 였지만 조선의 등장으로 호랑이의 시대는 가고 인간시대가 왔다고 합니다.

조선정부가 백성에게 먹고살 터전을 마련해줘야되서 농사짓지 않은 땅을 개간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개간하면 그 땅의 소유권을 인정해 주었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숲을 파헤치기 시작했고 불을 이용해 호랑이들을 죽이기 쫒아내기 시작합니다.

그 곳은 원래 호랑이들이 살던곳이었기 때문입니다.

백성들도 먹고 살기위해서 하는 행동이고 호랑이들도 살곳을 잃으니 불쌍하기도 합니다.

이때부터 호랑이와 전쟁을하기위해 특수부대가 만들어 집니다. 호랑이 잡는 '착호군'이 생깁니다.

착호군들은 호랑이를 잡아 왕에게 바치고 중국, 일본,여진,몽골 곳곳으로 팔려 나가기 시작합니다. 그중에 호피는 국제 무역에서 고가의 물건이었다고 합니다. 불쌍한 호랑이...마음이 아픕니다.

호피 공납제 까지 생겨나고 그렇게 걷힌 호피는 해마다 1000장이 넘었다고 합니다. 한해에 호랑이 1000마리가 죽어다는 뜻....... 정말 너무하고도 인간들은 잔인하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호랑이가 없어지면서 표범이 그다음 차례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우리나라에 호랑이가 많았었구나.. 같이 잘 지내고 살았다면 지금 우리나라에 어딘가에도 호랑이가 살고 있을꺼 같았습니다.



우리나라의 호랑이들이 급속하게 사라지게 된데는 총이라는 무기가 결정적이었고 병인양요 신미양요때 최정예 부대가 착호군 바로 산포수들이었다. 그 착호군은 날개달린호랑이라는 깃발을 들고 뭉쳤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어느새 호랑이는 수호신이 되었다고 합니다.

참 아이러니 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제강점기때도 역시나 호랑이를 사냥하고 한국전쟁은 호랑이들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했다고 합니다.

그후로 호랑이를 봤다는 목격담만 전해진다고 합니다.


우리는 호랑이들을 그렇게 몰아내고 호랑이를 좋아합니다. 호랑이와 같이 살았다면...
예전 책에서 전통적인 마을입구에 서낭당이라는 것을 본적이 있었습니다. 호랑이를 산왕이라하여 신처럼 모신다고 합니다. 강릉단오제가 대표적인 서낭신을 모시는 제사라고 합니다.

호랑이에게 잘못한거를 빌고 우리를 지켜달라고 얘기하는것인지... 이것또한 우리의 역사라고 합니다.

산짐승들을 함부로 잡지말고 보호해 주면서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보고 실천하며 살아가야지 더 나은 삶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책 끝으로 호랑이에게 너무 미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불편한 진실이었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위험한호랑이책#이상권#특별한서재#컬쳐블룸리뷰단#컬쳐블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