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 『죽음의 수용소에서』빅터 프랭클과의 대화
이시형.박상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책을 선택하고 읽는 기준은 처음에 제목에 끌리고 그 다음으로 내가 이 책의 저자들의

입장이 되었을때 나는 어떤 선택과 판단을 할까?

하는 기준을 가지고 책을 읽는다..

그리고 얻어지는 결론은 내가 선택하고 판단하는 기준은 너무 평범하고 일반적인 결정이라는 것이다.

책의 주인공처럼 되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는 얘기로 시작해본다.

생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어느 순간에 자기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 아마도 이 책의 제목처럼

내 삶의 의미라는 주제일것이다..

왜 태어나고.. 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와 의문..

문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사람이 많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그나마 질문에 대한 답을 다음으로 미루거나 잊어버리고 그냥 사는 사람들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 책 내용에 나오는 사람들처럼 주제에 너무 깊게 빠져 버리면 나중에 헤어 나올수 없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

이 책은 죽음의 수용소에서 라는 책을 쓴 빅터 프랭클 박사의 의미치료라는 삶에 의미를 찾아내는 방법을

이시형 박사와 박상미 상담사가 자신들이 살면서 만나고 겪어던 이야기를 책으로 펴낸 이야기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정신분야의 전문가로 프로이트, 융, 아들러 등등 대표적으로 이 3명을 거론하게 된다.

하지만 이 책을 읽기 전에 나도 몰랐다.

이들과 견주어도 빠지지 않는 빅터 프랭클이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이 책으로 알게 되었다.

이들의 차이점은 저자들의 설명을 대략 쉽게 설명하자면 프로이트, 융, 아들러 정신분야 박사들은 사람들의 행동을 분석하고

그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서 아픈곳을 일부러 꺼내거나 아님 이겨낼수 있을거는 조금 두리뭉실한 희망을 꺼내지만

이 빅터 프랭클의 의미치료에서는 저자가 유태인으로 죽음의 나치 수용소에서 겪어던 이야기와 사실적인 분석으로

인간의 원초적인 모습을 직접 목격한 것을 토대로 사람들의 정신을 분석하였다.

그곳에서 죽음의 순간에도 살아가는 사람과 죽어가는 사람의 차이를 어떻게 사람들의 판단이 다를까 하는 데이타와

자료를 만들어 자신의 연구와 치료를 위해서 그리고 많은 인류를 위해서 남겨 놓았다.

모든 사람들의 자신들의 의미를 자신들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을 저자는 말한다.

자신들의 삶의 의미에 대한 자신들이 해답을 가지고 있으면서 외부에서 아님 다른곳에서 찾으려 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저자들은 말한다.

자신의 문제를 잘 아는 것은 자신들이라는 것에 대한 해답을 처음부터 배제하고 시작하니 결과값이 엉뚱한 결과가

나오는 것이라고 저자들은 말한다.

그래서 자신들의 목소리와 자신들의 배경을 자신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인간이 위대한 이유는 어떤 어려운 상황이 오더라고 의연하게 대처할수 있는 해답은 항상 존재한다는 생각으로

자신들의 삶에 의미에 대하여 시간이 날때마다 생각해보고 자신을 조금더 알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것에 대하여

의미치료에 해결방법으로 이야기한다.

자신을 제일 잘 아는 것은 자신들이고 어떤 어려운 순간에 부딪치더라도 이겨낼수 있는 것도 자신들이라는 것을

꼭 포기하지 말고 생각해보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