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모 파버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13
막스 프리슈 지음, 정미경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7월
평점 :
[을유문화사 #서평단]
『호모 파버』의 주인공 발터 파버는 유네스코 소속 엔지니어로 개발도상국 개발을 지원한다. 그에게 자연은 이용할 도구일뿐이다. 게다가 첫 번째 챕터(「첫 번째 정거장」) 내내 본인은 이성적인 사람이라고 강조한다. 임신중절에 관해 이야기하던그는 "우리가 거부해야 하는 건, 자연을 숭배 대상으로 삼는" 것이라며 "인간은 자연의 지배자요 엔지니어"기 때문에 "여기에 반대하는 사람은 자연이 만든 것도 아닌 다리를 사용하면" 안 되고, "일관성 있게 행동해야 하니 어떤 수술도 거부해야 한다."(151p)고 말한다.
「첫 번째 정거장」에서 파버는 신뢰할 수 없는 화자다. 후에 친딸이라는 걸 알게 되는 엘리자베트와의 만남에서 거듭 강조한다. 엘리자베트에게 추근댈 생각은 추호도 없었다고. 당연하겠지, 그는 변태가 아니니까! 하지만 결과적으로 파버와 엘리자베트는 연인이 됐고 엘리자베트는 죽었다. 물론 파버는 엘리자베트가 자신의 딸인 줄 몰랐다. 하지만 엘리자베트의엄마 이름을 알게 된 파버는 거듭해서 날짜를 계산해본다. 자신이 원하는 답이 나올 때까지. 본인이 이성적인 사람이라고강조하던 파버는 믿고 싶지 않은 사실 앞에서 수학 결과를 조작한다.
'호모 파버'는 도구적 인간을 가리키는 철학적 개념이다. 엘리자베트의 엄마이자 파버의 전여친인 한나가 파버더러 '호모파버'라고 부른 것처럼, 파버는 '이성적인 나'에 취해있는 사람이다. 예술가를 조롱하고 자연의 가치를 깎아내리지만 내가보기엔 파버가 기술 문명을 숭배하는 사람 같다. 100% 감정만으로 사는 게 불균형하듯이 100% 이성만으로 사는 것도 불균형한 법이다. 작가가 주인공 이름에 도구적 인간이라는 정체성을 부여한 것처럼 주제가 명확한 소설이다.
기술 문명에 대한 맹목적 믿음을 경계하자는 주제를 오이디푸스 적으로 풀어낸 이유를 납득하지 못했는데 정미경 교수의해설이 많은 도움이 됐다. 하지만 1957년 작품을 2021년에 읽어서 그런지 그다지 와닿진 않았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