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아이 심리백과 - 첫째는 어떻게 세상의 리더로 키워지는가
케빈 리먼 지음, 이재경 옮김 / 살림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도 첫째이고 아들이 둘이 있는데 첫째아이와 요즘 종종 부딪치고 있는 중이라 "첫째아이 심리백과" 를 보고 나니 비슷한 성향인 아들과 저와 충돌이 있었던 거였네요. 책읽고 고칠껀 고치려고 해요.  

첫째인 저도 남의 기대에 맞추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지요. 타고만 맏이 기질을 잘 활용하는 방법을 이 책은 알려줘요. 맏이의 특징을 잘 이용해서 저와 아이와 같이 맏이 성향이 아주 많긴 하지만 충돌안하게 할수있는 방법을 배운거 같아요.... 맏이인 엄마와 아빠가 만났을때 충돌 안하게 하는 방법도 있구요.. 맏이의 특성이 여러가지 면으로 많이 있는데 어찌나 저랑 비슷하던지요.. 많이 공감하면서 읽었어요. 맏이 특성 잘 이해해서 직접 적응해보려고 해요...

  첫째가 어떤 성격이든 둘째와 첫째는 정반대의 성향을 갖게된다.  맏이는 타고난 리더이며 성과를 추구한다. 중간아이는 반대이다. 맏이는 지나치게 간섭받고 역량 이상을 해내도럭 요구받는다. 중간아이는 스트래스를 받지 않으니 가진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끝내기가 쉽다. 막내는 사교적이고 활달하다. 그러나 가끔은 출생순서가 안 맞을 수도 있다.

  맏이는 자녀 중에서 가장 많은 상처를 받는다. 맏이를 만드는 요인은 어떤 부모 밑에서 컷느냐다. 맏이는 완벽주의자 성향을 갖기 쉽고 그 때문에 남들의 비판에 유난히 민감하다. 비판적 시선은 맏이가 가정과 학교와 직장과 대인 관계에서 성공하는 삶을 사느냐 아니냐를 판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된다. 출생순서에도 영향은 있지만 부모와의 관계 형제간 상호작용과 남녀구성 가족의 경제적 지위 거주지역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맏이의 성격은 따로 있다. 타고난 리더, 정리의 달인, 든든한 사람, 성실하다, 목록 만드는 사람, 습관대로 한다. 성공하려고 한다, 탁월 함을 추구한다. 맏이의 성향이 인간관계를 방해하는 걸림돌이 될때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경향을 제대로 인식한다면 문제를 피해갈 수 있다. 맏이는 지배자형과 예스맨 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맏이의 성격은 부모에게 처음이기에 실험용 쥐 처럼 모든것이 다 적용된다. 관심집중, 아이위주, 맏이가 하는것은 모든것이 중대사건이 된다. 또 부모의 기대치가 높다. 그래서 맏이의 성격이 오게된다.

  비판적 시선이 맏이가 행복한 사람이 되느냐 불행한 사람이 되느냐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된다. 부모가 생각하는 최고의 것을 아이에게 주려면 아이가 완벽하지 않더라고 그냥 받아들여 줘야한다. 부모의 방해때문에 자신만만하고 당당한 어른으로 성장 할 수 없는 불쌍한 맏이들이 있게 된다. 맏이는 큰 기대를 받기 때문에 어려서 부터 어른 취급을 받게된다. 맏이는 처음 경험하는것을 부모의 기대를 받게 되므로 맏이는 실험용쥐처럼 된다. 비판적인 부모는 맏이를 망치기에 딱 좋다. 그렇게 되면 자녀는 자존감을 잃게 된다. 

  맏이가 가정, 학교, 직장, 인간관계에서 잘 나가는 법을 알려준다.

  맏이의 타고난 리더이고, 위대한 분석가이고, 똑똑한 학구파이고, 체계화의 달인이고 , 앞서 나가는 솔선수범형이다 맏이는 맏이만의 특별하고 위대한 장점을 가지고 그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 성공은 자신의 것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