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하노 벡.우르반 바허.마르코 헤으만 지음, 강영옥 옮김 / 다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과 표지에서 어려움이 느껴지는 책이다.
사실 경제와 관련된 책들은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어서인지 책을 보자마자 그냥 어렵다라는 생각만 들었다.
어렵다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기 시작하면 그 책은 정말 어려운 책이 되고  책 읽기가 더뎌지는데...
안좋은 습관이라는걸 알지만 잘 고쳐지지 않는다.
이 책도 조금 더디게 읽긴 했지만 나에게는 흥미로운 책이였다.

평소 돈과 관련해서 주변인들보다는 조금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고
재테크 관련책들도 많이 읽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진짜 기본을 간과하고 있었다는 생각이든다.

인플레이션이라하면 학교다닐때 수업시간에 배운게 다였는데 잊어버린지 오래다.
신문이나 뉴스에서 혹은 책에서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가 나오면 그냥 대충 그런 의미구나하고 넘어가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는 생각해보지도 찾아보지도 않았다.

이 책은 4부로 구성되어있다.
돈이 발명되면서 시작된 인플레이션에 대해 시대에의 흐름과 함께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다.
책의 부제가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인 것에서 알수 있듯,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플레이션을 이야기 하고 있
다.

책을 읽으면서 흥미로웠던게 
모든 인플레이션의 시작은 국가에서 시작되었다는 거다.
국가의 부채를 줄이기 위해 지폐를 발행하고 국민들에게 지폐사용을 권장하고 경제가 살아나면 지폐를 대량 발행하고 지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그러다 물가가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기에 이른다.
지폐의 형태는 달랐지만 대부분의 국가가 그릇된 판단으로 똑같은 일을 되풀이해야만 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정치인들의 욕심은 끝이 없는것 같다.

인플레이션이 몇백배나 상승해 돈의 가치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를 보면서 어떻게 저렇게까지 되나 싶지만 그런 일들이 과거에 일어났었고 현재에도 어디선가는 일어나고 있을 일이다.
과거의 실패를 보고 배워서 미래에는 그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하지만
똑같은 일들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는건 문제가 있다.

4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이용한 투자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투자에 얼만큼 활용할수 있을지..
사실 투자라는 말 자체가 나에게는 크게 와닿지 않는다.
부동산이나 주식 이런것들에 대한 관심도 있지만 투자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책 추천글에 보면
세 번 읽기 전까지는 이 책을 읽었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는데
그렇다 이 책은 적어도 세 번 이상은 읽어야 오롯이 내 것으로 받아들일수 있을거 같다.

"나는 현금으로만 거래를 한다."
나폴레옹이 남긴 말이라고 한다.

인플레이션...
나에게는 조금 어려운 책이지만 경제에 관심이있고 특히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