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유비는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을까? - 조조 vs 유비 역사공화국 세계사법정 16
박영철 지음, 황기홍 그림 / 자음과모음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응? 유비는 결국 패자잖아?

한번쯤은 읽게 되는 삼국지를 읽고나서 이런 생각을 해본 사람은 생각보다 많을 듯 하다.

보통 영웅, 주인공 들은 승리하고, 그가 정의가 되곤 하는데..

제갈량과 유비는 결국 역사적 측면에서 결과적으로 봤을때

조조에게 패하고 각자 그 험난했던 시절을 전쟁과 더불어 마치는 지라

삼국지의 주인공들이 영웅이라고만 생각하던 것에 비해서

마지막을 읽고 아리송한 생각을 했었다.

그 답답함을 풀 시간이 겨우 왔다고나 할까?

매번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배우는 역사공화국 세계사 법정..

이번엔 삼국지 이야기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당시의 인물상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이.. 제갈량과 유비의 관계..

삼고초려란 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정도로.. 유명한 군신관계..

그들사이는 좋은 관계였다기보다 어느순간 틀어진 관계였음을 알았다.

삼국지를 읽으면서도 생각했던 유비의 우유부단함과

제갈량의 현명함이 권력을 중간에 두고 질투라는 이유로 얼룩졌던 걸까..

둘 사이의 이유는 아직도 모르는 그 틀어진 관계가 결국 촉을 패망으로 끌어갔는지도 모르겠다.

촉나라에 있지만 끝까지 이방인 취급을 당했던 것도 유비 , 제갈량의 한계..

그리고 형주를 반납하지 않은 유비의 태도..

사대부와 갈등이 심했던 관우와 반대로 병사들에게 난폭했던 장비..

세사람의 의리로 맺어진 이들의 형제애가 또한 촉을 패망으로 이끄는

역할을 했다는 것도 소설속에서 멋지게만 보아온 남자의 의리와는

거리가 먼.. 백성의 입장에선 이해할 수 없는 그들의 행보가

아니었을까...

두번째 충격은.. 유비가 한나라 정통성을 논하면서 촉을 세웠을때..

헌제가 살아있었다는 거..

어쩌면 조조보다 유비가 더 상황을 이용해 황제가 된 비겁한 인물일지도

모른다는 아쉬움이 들었다.

위 촉 오.. 삼 국은 법정에선 결국 어느 나라가 정통성을 논하는 것보다는 각각

평등한 왕권을 가진 나라였으며, 어느 한 나라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헌제 시해설을 퍼뜨린 유비에게는 죄를 물은 판결이

신선하기만 했다.

한번쯤은 읽어야할 책이라고 권하는 소설 삼국지와

실제 역사인 진수의 삼국지..

그리고 역사속에서 바라본 소설 속 주인공들의 묘하게 다른 모습을

만나볼 수 있던 역사 공화국 세계사 법정 16권.. 강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