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광해군은 억울해했을까? - 광해군 vs 이귀 ㅣ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34
김태희 지음, 박상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1년 6월
평점 :
요즘 한참 재밌게 보고 있는 한국사 법정시리즈..
요번의 광해군편은..
가장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라는 것과,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현실에서 그 교훈을 알고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말것과
좋은 것을 받아들이고 반복해야함을 알기 위해서란
분명한 사실을 확실히 알려준 책이란 생각을 하게 했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가장 힘든 시기에 왕이 되었고,
왕으로서 묘호도 얻지 못한
광해군..

재판은 셋째날까지 진행되며.. 소장 접수를 시작으로 재판이 시작되었다.
교과서 안에서 어떻게 다루어 지는지.. 세계사와 한국 연표의
어디쯤인지를 보여주는 앞부분.. ^^

이 귀.. 인조반정을 주도한 그에게 소장을 제출한 광해군..
소장을 읽으면 잘 한 일도 많은 왕인 광해군에 대한 평가가 낮았음을
짐작하게 된다.

선조가 명으로 넘어가려 한 것과 대조적인 광해군의 행적..
상당히 영리한 왕자였음을 들어보긴 했지만. .군.. 이란 호칭때문에
어리석고 폭군이었으리란 생각이 더욱 무뎌졌다.

역시 문제가 된.. 정치인들의 계보..
사도세자의 비극에서 당파의 문제를 살펴본지라..
광해군에게도 이런 당파가 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알듯하다.
역사공화국은 조금 어렵다거나, 정리가 필요할 때 요런 그림이
상당히 도움이 된다.
한눈에 하고픈 말을 알 듯하게 정리를 해준다고나 할까?

광해군의 업적은 생각보다 유명한 것이 많다.
대동법, 동의보감, 궁궐복구, 외교술..

그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었던건 중립외교가 아니었을까 싶다.
사대사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읽을 수록 사대사상에 젖은
신하들이 국제 정사를 잘 읽은 광해군을
자기 당파의 이익과 힘을 위해 몰아낸 느낌..

이귀의 주장은 세가지중.. 첫째가 인륜이었다는데..
군신간의 인륜을 저버린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정치사가 늘 승자의 기록이라는건..
중초본과 정초본을 통해 알 수 있다.
지워야 할 것들을 지운 흔적이 있다는 것으로..

최후의 진술..
결국 왕위에서 쫒겨나 연산군처럼 대접받을 만큼의 일을 하지 않았다는
광해군의 손을 들어주고 싶어졌었다.

법정에서 내린 판결은
부분승소라고나 할까..
재판관의 심정이 나와 같은 느낌..
하지만 나는 하나더 광해군에게 묘호가 생겼음 싶었지만..
그건 이미 지난 역사니 할 수 없는 건지..
암튼.. 읽을 수록 광해군이란 한 왕을 다시
기억하고 싶어졌고, 역사를 돌아보면서
광해군이 반성을 한 것처럼 지금 힘을 가진 정치자들역시
신중함과 자제력을 가지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