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순신은 백의종군 했을까? - 이순신 vs 선조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33
배상열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의종군이 뭐야?"

 

이순신이란 이름을 한국사람이라면 모를 리가 없는데도.. 딸냄은 받아들고 묻는다.

아이들은 드라마를 봤어도 비장한 모습과 싸움만을 기억하고..

이순신이란 위인전을 봤고,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많이도 들었음에도 그의 훌륭한 업적과 죽음 으로 남은 마지막 말만을 기억하고 있는 듯..

 

흰옷을 입고 군사를 따라가다... 결국 모든 명예와 직위를 없애고 가장 낮은 자리.. 종으로 강제적으로

전쟁에 참여시킨다는 형벌을 받은 일을 아이들은 모르는 듯하다..

그것이 맘에 남으셨던듯.. 이순신 장군은 원고가 되어 한 나라의 왕이었고, 주군으로 섬겼던 왕 선조에게 소송을 걸고 각기, 김딴지와 이대로 변호사를 대동하고 법정에서  시시비비를 가리게 되는데..


우리의 영웅인 이순신 장군에게 억울한 사정이 있음도.. 절대 권력 왕에게 소송을 거는 것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엔 충분한 내용..

책에서는 3일 간의 법정 다툼을 보여준다.

선조가 임진 왜란을 막지 못했던 당시 상황과 선조의 잘못된 정치를 보여주고, 나라를 위태롭게한 당파싸움의 배경을 설명하는 첫날.. 이순신 장군의 활약상을 보여주는 둘째날.. 선조측은 이순신이 임진왜란의 공로는 있지만 자신의 공로를 과대포장하고 있다고 반박하기도.. 마지막으로 원균이 등장하고 백의종군하는 시기, 그리고 명량 대첩의 승리를 말해주는 셋째날..

 

책을 읽으면서.. 조선이 왕이 가장 힘이 센 나라가 아니라 신하들의 힘에 좌지우지 되어 왕이 제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선조의 주장이 상당히 흥미로웠고. 우리가 잘 못 알고 있을지도 모르는 광해군의 전쟁에서의 활약과 선조가 광해군을 세조로 세운 배경의 비열함, 왕이면서 당나라로 넘어가려고 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비참함, 요즘 다시 조명되고 있는 원균에 대한 호기심을 만날 수 있었다. 암튼.. 선조는 김덕령을 몰아 죽이는 대목에서 이순신을 백의종군시킨것까지 자신의 못남때문인지 백성의 추앙을 받았던 좋은 신하들을 위태롭게 한것만큼은 확실해 보이기도 했다.

 

최후의 진술.. 선조의 무능함을 말하는 이순신과 신하에게 모든 변명을 미룬 선조의 대조적인 모습에 결론은 분명해 보였다. 임진왜란을 겪고, 우리가 나라를 지킨 두 기둥이라 생각했던 두 명의 법정 싸움은 결국 이순신의 승리로 마무리 되었고, 선조가 후회를 하면서 화해를 하는 모습으로 끝나는 건 미담을 남기고 싶었던 작가의 의도로 보였다.

 

 

이순신장군에 대해서..그리고 임진왜란 이란 전쟁의 시기의 조선에 대한, 그리고 당시 왕의 능력과 권위에 대한 많은 것을 더 깊이 알게 된 시간이 아니었을지..

아이들이 바라본 영웅의 모습과는 또다른.. 그의 충정과 정말 위험했던 당시의 상황을 아이와 함께 생각해본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