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웨덴을 가다 - 복지국가 여행기 ㅣ 우리시대의 논리 16
박선민 지음 / 후마니타스 / 2012년 10월
평점 :
인간다운 삶.
사람이 모든 판단과 가치의 중심이 되는 사회.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인생. 누구나 꿈꾸는 이상적인 모습의 세계가 아닐까?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격적인 대우를 받고 존중받는 삶을 살기 원한다. 오랜 세월 개인의 인권을 인정받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려야 했으며 독재 정권에 맞서 자신의 인생을 희생해야 했다. 민주사회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끊임없는 투쟁과 운동은 이어졌으며 각 시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인권은 많은 부분 상장되었고 서구, 유럽 나라들의 복지는 개발도상국가와 신흥 경제개발국의 모델이 되었고, 복지사회의 사례로 스웨덴은 빠지지 않고 소개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스웨덴을 가다>는 진보 정당에서 8년간 보좌관으로 역임한 저자가 스웨덴을 직접 방문해 그 나라의 정치적 상황과 복지문제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만나 인터뷰를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책은 사민당(사회민주당)과 보수당에 속한 정치가, 노동단체와 경영자 단체의 담당자들을 만나 스웨덴 복지의 원동력이 어디에 있는지, 전국민의 동의하에 복지국가로 성장할 수 있는 그 뿌리를 살펴나간다.
저자는 스웨덴 보수당이 집권하면서 복지체계를 포기하고 성장위주의 경제정책을 펼 것이라는 국내 보수 언론을 정면 비판한다. 오히려 보수당의 정치인을 만나 본 결과 사민당과 같은 복지 체제를 유지하면서 개인의 권인을 더욱 중요시 한 것이 오랜 사민당의 정권이 바뀔 수 있는 계기였다고 말하고 있다.
“스웨덴경영자총연맹에서는 개인들이 자기 자신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주의를 선호한다. 하지만 노동조합쪽에서 개인의 성향이 변한 것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노동조합이 사회 변화를 깨달아야 한다. 특히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은 매우 현대적이다. 자기 일은 알아서 처리하려 한다. 반면에 LO(스웨덴노동조합총연맹)는 노동자 개인을 그저 전체의 구성원으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다.” 154쪽
스웨덴 경영자총연맹의 위원 인터뷰를 보면서 사상의 변화를 감지 할 수 있었다. 세상은 점점 더 개인화 되어간다. 그것이 노동운동에서도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변화를 두고 당장은 복지에 뿌리를 둔 스웨덴의 사회구조가 변하지 않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우려하기도 한다.
복지의 나라 스웨덴이라고 하지만 처음부터 좋은 복지국가로 시작한 것은 아니다. 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이 존재했고 현재도 청년실업문제, 노사문제 등 많은 해결점들과 불안전한 정책들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스웨덴을 보고 배울 수 있던 것은 국민들의 높은 독서율을 바탕으로 국가의 정책을 지지하며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인간의 권익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국민이 똑똑해져야 한다. 그리고 개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한 사회의 연결된 구성원임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