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해 빠진 이야기는 싫어! 온그림책 4
다비드 칼리 지음, 안나 아파리시오 카탈라 그림, 이경혜 옮김 / 봄볕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비드 칼리 지음 / 안나 아파리시오 카탈라 그림 / 봄볕 출판사

통통튀는 화려한 표지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화려하고 원색적인 색감은 마지막 페이지까지 계속된다. 표지를 넘기면 면지에 네개의 감투가 가지런히 나를 기다리고 있다 . 기사가 쓰는 투구, 카우보이의 모자, 마녀의 뾰족하고 긴 모자, 공주의 왕관.모두 특정 캐릭터를 떠올렸을때 자동으로 연상되는 이미지의 모자들이다. 그래, 이제 그 빤한 이야기 속으로 한번 들어가볼까?^^ 운이 좋다면 전혀 빤하지 않은 이야기일지도 모르지 !

아빠는 딸아이에게 기사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빠가 한마디씩 들려줄때마다 딸은 못마땅한 부분에 대해 당당히 수정해줄것을 요청한다. 너무 빤하다고 ㅎㅎ 왜 공주들은 꼭 누가 자길 구해줘야 하는 연약한 존재로 나오고 용은 왜 꼭 나쁜 캐릭터로 나오냐고 ! 아빠는 딸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서 이야기를 수정해 들려준다. 그렇지만 딸은 아빠가 고친 이야기에도 여전히 편견과 차별이 있음을 알고 또다시 스토리변경을 요구한다. 여자도 영웅이 될수 있고, 마녀말고 카우보이 캐릭터였음 좋겠다고. 모든 여자애들이 핑크색을 좋아하는건 아니라는거 누구다 알지않나?

그렇게 해서 드디어 이야기 한편이 마무리 되었지만 딸은 이야기가 맘에 안든다고 으아앙~~~눈물을 터뜨린다. 응? 왜? 마지막 한페이지만 남겨두고 책은 이렇게 마무리되는데 너무 많은 스포일이 될까봐 마지막 페이지 내용은 함구하는게 좋겠다 . 다만 마지막 페이지 아빠의 말에서 빵 터졌다 ㅎㅎㅎ 그래 맞아, 아직은 어린 꼬마애였지 !

책을 읽는 내내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자신의 생각을 당당히 말할수 있고, 또 그 생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결국 질문을 하고 다시 정정해가는 과정속에서 아이는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시선을 배울거라고. 다비드 칼리의 이 책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에 불만가득한 어린 소녀가 등장하지만 , '역할' 이라는 단어대신 다른 단어를 대입해본다면 어떨까. 고정관념을 깨뜨리지 않고서는 그 너머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우리는 절대 들어볼수가 없다. 소녀처럼 당연하다 생각했던 것들을 불편한 시선으로 바라보자. 불편함이 있어야 제자리를 찾아갈수 있는거니까

그런데 여기서 재밌는 사실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이야기를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힘들게 완성된 이야기에 소녀는 만족하지 못한다. 왜 재미가 없다고 느꼈을까 ? 하나의 고정관념을 제거하려고 그 외 장치들을 모두 제거해버리니까 이야기가 수정전만큼이나 뻔해졌다는거다 . 누군가의 시선에서 봤을때 그 이야기는 다시 원점인 것같은?

 

우리의 다양성과 재미는 완벽함과 불완전함속에서 여전히 존재하며 , 서로 균형을 찾아가는 그 과정에서 느낄수 있는것 아닐까? 주인공만 있는 연극이 뭐가 재밌냔 말이다. 하나의 고정화된 완벽한 캐릭터보다는 악당도 있어야 하고, 조력자도 있어야 하고, 신 스틸러 조연들도 분명 존재해야 하는거니까.

흔해빠진 이야기는 싫다며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소녀는 결국 알게될것이다. 이야기는 절대 하나의 캐릭터만으로 재밌게 채워질수 없음을 . 어떤 여자가 또는 어떤 남자가 어떤 역할을 맡는지가 전혀 중요하지 않은 세상이 곧 오길 바란다. 그때야 말로 정말 평등한 세상이 왔단 소리니까 그때쯤이면 우리가 만든 모든 이야기속 주인공은 진짜 자신이 원하는 개성을 입게 될테니까 ! 그날을 위해 부지런히 자기만의 스토리를 써갈 우리 아이들을 뜨겁게 응원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