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 - 내 것이 아닌 아이
애슐리 오드레인 지음, 박현주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을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까

심리스릴러물 같기도 하고, 페미니즘 소설 같기도 한 이 소설은 모든 여자들의 삶은 피할수 없는 어떤 것 , 즉 엄마가 되는 일련의 과정이 모성애라는 장치로 아름답게 포장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정하에서 시작한다.

블라이스 라는 한 여성이 있다. 너무나 사랑하는 남자 폭스코너를 만나 결혼을 한 블라이스는 아주 현실적인 고민에 직면한다. 나는 정말 아기를 낳을 준비가 되어있는가 ? 나는 아기를 위해 진정 사랑만 줄 준비가 되 있는가 ?

블라이스는 자기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무방비로 아기를 낳게 되고 , 큰 혼란에 빠진다 . 왜 ? 아무리 노력해도 자신이 낳은 딸 "바이올렛 " 을 온전히 이해하고 사랑하는 엄마가 아니었던 것이다. 모성애로 차고 넘치는 그런 부류의 엄마가 아니라는 생각에 블라이스는 자신을 닥달하고 자책하고 노력하고 또 노력한다. 상황은 나아졌을까 ?

몸도 마음도 너무 지쳐서 그럴뿐이라며...남편도 주변사람들도 대수롭지 않게 이야기를 하지만 , 딸 바이올렛과의 관계는 갈수록 더 악화되고 남동생 '샘 ' 이 태어나고부터는 블라이스와 바이올렛과의 거리는 마치 폭풍전야처럼 한장면 한장면이 어뢰와 같은 느낌을 준다.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이 뒤엉켰다. 둘중에 진짜 진실은 뭘까 ?

엄마 블라이스는 주변인들이 묘사한것처럼 그냥 너무 지친 나머지 친자식을 온전히 사랑하지 못하고 있는 걸까 ? 모성애가 부족한 여자가 있고 그 여자는 자신의 부족한 모성애를 감추기 위해 , 딸 바이올렛에게 뭔가 문제가 있다고 자신의 입장에서만 말하고 있는건 아닐까 ?

아니면 블라이스가 묘사한 대로 딸 바이올렛은 정말 그 어떤 사랑으로도 자신의 엄마를 사랑하지 못하는 정신질환을 갖고 태어난 악마인걸까 ? 세상에는 이런 악마인 아이들도 태어나는데 , 우리는 블라이스에게 너는 왜 더 노력하지 않는거니 , 왜 모성애가 부족한거니 하는 차가운 시선을 던지고 있는건 아닐까 ?

독자로 하여금 , 엄마와 자식간의 너무나 단단한 사랑이라는 연결고리가 부단한 노력에 의해 간신히 유지되는 위태로운 구조물이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걸 보면, 작가는 이 세상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모성애로 인해 끊임없이 자신을 괴롭히는 양육자들의 목소리도 들려주고 싶었던 것 같다. 모성애가 부족한 엄마들에게 보내는 사회의 비정상적인 시선!

언제나 늘 '갑'의 입장일것 같은 엄마와 언제나 늘 '을'의 입장일것 같은 연약한 아이를 겉으로는 묘사하고 있지만 , 실제로는 늘 을의 입장일수 밖에 없는 엄마라는 존재가 더 눈에 들어온다.

너가 힘들어서 , 단지 너무 지쳐서 그런걸거야. 너와 아이의 관계에 잘못된건 아무것도 없어, 아이의 저 눈을 봐. 너가 낳은 너무나 사랑스런 아이잖아. 저런 천사가 어떻게 악마일수 있겠니 하는 주변의 시선속에서 블라이스는 홀로 투쟁한다. 스스로를 끊임없이 의심하고 , 더 채찍질하고 , 더 노력해보지만 스스로 낳은 딸에게서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며 점점 파멸해가는 블라이스. 그 누구도 귀 기울여주지 않았던 블라이스의 고충이 허상이 아니라는 생각에 닿자 그녀에게 연민의 감정이 폭발한다. 어쩌면 과거의 나를 안아주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모성애라는 틀에 갖혀서 늘 더 좋은 엄마로 비춰지길 원했던 순간이 나 또한 왜 없었을까 .

엄마가 스스로 뜨거운 커피를 쏟게끔 만들고 , 잡고 있던 유모차를 놓치게 하여 남동생을 사고사로 죽게 만든 영악한 아이 바이올렛 . 새엄마와 아빠가 낳은 남동생 '제트'는 바이올렛 옆에서 과연 무사히 성장할수 있을까도 의심을 품게 되는 으시시한 결말이다. 블라이스와 바이올렛과의 숨막히는 거리는 외줄타기하듯 불안하기만 하고 , 엄마 세실리아와 할머니 에타의 불행했던 삶은 모두 , 여자라서 , 엄마라서 포기해야만 했던 부분이 있음을 , 분명 모성애가 커버하지 못하는 날것의 영역도 있음을 이 사회에, 남자들에게 인정해달라고 말하는것 같다.

제목 Push 는 출생의 의미도 있겠지만 , 샘의 유모차를 밀어 아들이 죽음에 이르렀던 순간 즉 출생과 죽음의 두가지 양면의 의미가 있다니 참 아이러니 하다. 그리고 서로를 밀어내는 (pushing) 블라이스와 바이올렛의 불안한 관계도 이 단어로 모두 설명되고 있으니 제목 정말 기가 막히게 잘 지은것 아닌가 싶다.

블라이스는 자신의 남편 폭스코너가 자신의 말은 하나도 믿지 않자 이 모든 이야기를 써서 원고로 주는데 , 그 원고가 바로 이 책인것이다. 남편 폭스 코너는 이제는 블라이스 말이 사실이었음을 믿어줄까 ? 그도 나와 같은 심정인지 궁금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