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를 지키는 호랑이 몽키마마 우리옛이야기 12
김성준 지음, 이준선 그림 / 애플트리태일즈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표지 그림을 본 순간 너무 반해버려서 무조건 봐야겠다 다짐했던 책이었다 ! 스토리는 워낙 잘 알려져 있으니 이번엔 내가 좋아하는 그림이야길 풀어놔야 겠다. '호랑이'하면 떠올려지는 이미지 그대로가 이렇게도 평면에 구현가능하다니 ㅎㅎㅎ. 내가 워낙 옛날 이야기를 좋아한다. 혹자들은 권선징악의 뻔한 스토리가 아이들에게 독이 된다며 피하라고도 하지만 , 내 경우에는 흑백 논리가 명쾌해서 좋을때도 있었고 , 나쁜 놈이 벌을 받을땐 봐 저런 귀결이 제대로 된 세상이지 라고 위로도 받았다. 요즘에도 너무 좋은 책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지나치게 애매모호하거나 추상적인 부분도 없지 않아서 함께 책을 읽을때 진땀을 뺀적도 많다.

글씨체 또한 이 책과 너무 잘 어우러져 있다. 옛날 초가집과 너른 마당...그 마당 주위로 뱅 둘러쳐진 나무들..저 멀리 보이는 우물과 감나무..그 감나무에 앉은 까치를 보고 있자니 자연스래 맘이 포근해진다. 이글이글 불타오르는 호랑이의 두눈과 금방이라도 책밖으로 튀어나올것 같은 살아움직이는 듯한 호랑이를 보자 있자니 이미 내가 호랑이 등에 타고 저 너른 고개마루를 넘고 있구나 싶다 . 그림작가님께서 구도또한 세심하게 고민한 흔적이 여기저기서 보인다. 밑에서 위로 쳐다보게 되는 이 장면에서는 속도감마저 느껴진다. 인물들의 표정 호랑이의 표정변화등 그림을 세목세목 살펴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모두가 갖고 있는 편견을 허물고 호랑이와 사람이 친구가 될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 평등한 관계에서 시작하지 않은 관계는 오래가지 못한다 .그리고 관계는 나 또한 약한 존재라는걸 인정하는것에서부터 시작되는것 아닌가 한다.

호랑이를 가죽을 팔아 돈 벌 수단으로 보지 않고 , 사람을 배고픔을 채울 음식으로 보지 않은 ...편견에 맞선 서로의 믿음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최근에 읽은 [메리와 생쥐]라는 책이 오버랩된다. 메리엄마와 생쥐엄마의 우정이 이어져 메리와 생쥐와의 우정까지 ...너무나 아름다웠던 우정에 관한 책이었는데 여기 이 호랑이도 새끼를 낳아 기르면서도 우정을 지켜냈으니 말이다.

이 그림책의 또다른 매력은 해외 독자들을 위한 영어판 글도 실려있다는 것이다. 굳이 공부시킬 마음은 없지만 어떤날은 한글책으로 또 어떤날은 영어책으로 읽어봐도 좋을듯 하다. 그 다음장은 100가지 민족문화 상징물에 대한 코너가 있는데 이 책에서는 ' 도깨비 '와 '측우기' '해시계와 물시계'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책읽기를 끝내고 아쉬울땐 아이들과 옛 우리 물건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나눠보면 재밌을듯 싶다.

효심뿐만 아니고 간절히 원하면 하늘이 돕는다는 말을 다시 새겨본다. 아버지의 병을 고치겠단 그 간절함이 아니었더라면 그 무서운 호랑이를 마주할 용기가 났을까 ? 비록 아버지는 돌아가셨지만 아들이 겪어낸 모험의 이야기를 듣고있으면 슬픔이 아닌 또다른 희망을 보게 된다. 그게 옛날 이야기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하고 싶은 이야기가 아닐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