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속의 나무 집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75
존 클라센 그림, 테드 쿠저 글, 공경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무 속의 나무 집> 테드 쿠저 글 / 존 클라센 그림 / 시공주니어 출판사

 

이 책의 작가 테드 쿠저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는데요 특이하게도 이 책은 대화가 한 문장도 안나오고 모두 다 서술로만 되있어요. 그래서일까요 역동적인 느낌보다는 차분하면서도 잔잔한 분위기의 나래이션을 듣는 기분이 듭니다.

<나무 속의 나무 집>은 시간과 함께 변해가는 우리들의 이야기, 인간생명의 유한성 과 대자연의 무한함이 대조되면서 우리 인간이 얼마나 작은 생명체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그림책입니다.

나무로 가득찬 터에 아빠와 아들과 딸이 새 집을 짓습니다. 당연히 나무들은 한개도 남김없이 뽑아 정리했고 새로 심은 마당의 잔디를 아버지는 정성껏 돌보고 가꿉니다. 잡초가 자라지 않도록 말이죠. 집터 양쪽으로는 하지만 나무숲이 있어서 아이들은 그곳 덤불속에서 놀기도 하고 햇볕을 피하기도 하면서 추억을 쌓습니다. ( 자연과 어우러져 사는 인간의 모습은 언제봐도 축복입니다^^ )

나무씨앗들이 날아들어도 아버지는 한결같이 잡초를 뽑고 잔디밭을 가꿉니다.

시간이 흐르고 흘러 남매는 성장해서 도시로 떠나고 아버지도 늙어서 이제 더이상은 그 넓은 공간을 돌볼수가 없게 됩니다. 아버지도 결국 자식들과 가까운 도시로 떠나게 되고 그 집을 내놓습니다. 하지만 그 집은 새주인을 끝끝내 찾지 못하고 그렇게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잊혀지고 서서히 조금씩 조금씩 망가집니다.

비바람에도, 모두의 무관심속에서도 그 집을 꿋꿋하게 지켜낸 것은 다름 아닌 주변의 나무들이었는데요 마치 집이 새둥지라도 되는것처럼 그렇게 집을 떠받쳐주고 있었어요 .나무들이 힘을 모아 떠받치고 있는 집..바로 그 어떤 집에 얽힌 사람들과 시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여러분 각자가 품고 있는 공간에는 어떤 사연이 ..어떤 기쁨과 어떤 슬픔이 함께 하고 있나요? 이책을 읽고 나니 무심코 머무르고 있거나 지나쳤던 공간에 대해서도 뒤돌아보게 됩니다.

내가 나고 자란 집은 오래전에 팔렸고 늘 뛰어놀던 동네도 개발로 인해 구분조차 하지 못합니다. 시간이 흐르면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일들이 많아집니다. 나이 들고 약해지는것도 그중 하나겠죠. 자식들이 다 떠난 집 마당에 앉아 있는 아버지의 뒷모습을 보니 세월의 무상함도 느껴집니다 . 아버지의 뒷모습이 익숙하게 다가오는 이유..그건 바로 세상 모든 아버지들의 뒷모습과 닮아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가족들에게 안락한 공간을 제공해주기 위해 아버지들이 평생을 무수히 뽑아냈을 잡초들..무수히 흘렸을 땀방울들..그렇게 해서 끝까지 지켜내고 싶었던 소중한 것들은 무엇이었을까요? 그리고 그 공간을 포기하기로 결정했을때의 아버지의 심정은 어땠을까요?

인간은 태어나 성장하고 병들고 약해지지만, 자연은 불굴의 의지를 갖고 씨앗을 퍼뜨리기를 계속합니다. 아버지가 늙어가고 그 집이 망가져가는 모습과 대조되는 자연의 강인함을 보면서 결국 자연이 얼마나 위대한지 , 시간앞에서 그리고 자연앞에서 우리 인간은 얼마나 힘없는 존재인지 깨닫게 됩니다.

존 클라센이 그린 그림들은 글의 담담함을 잘 보여주기도 하고 감정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서정적인 분위기가 물씬 나면서도 아버지의 쓸쓸함과 외로움까지도 뭍어나오도록 하는걸 보면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그림은 마지막 페이지. 나무들이 집을 떠받들고 있는 그림인데 구도가 입체적입니다. 한 가족의 따뜻한 공간이었지만 지금은 버려진 집...그러나 나무들은 아는걸까요? 그 집을 지켜내기 위해 아버지가 매일 같이 흘렸을 노고를 . 말못하는 나무들은 어쩌면 그 아버지의 공간이 망가지는것이 마음아파 하늘로 하늘로 띄워보내고픈 맘인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내가 있는 공간의 소중함을 다시금 떠올리게 하는 그림책. 내가 머물고 있는 공간의 스토리가 궁금해지게 만드는 그림책. 자연앞에선 , 시간 앞에선 한없이 나약한 인류라는 존재를 떠올리게 하는 그림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