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물속 생물 이야기 ㅣ 아이세움 열린꿈터 18
한영식 지음, 김명길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물속 생물 이야기
아이가 초등4학년이 됐을때, 과학시간에 배우는 부분에
물속 생물 이야기가 나왔다.
나도 생소한 부분을 아이는 또 얼마나 생소했을까?
익숙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생물들이 아니기에
이렇게 책으로 미리 만나게 된다면..
과학시간에 배우는 물속 생물 이야기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것
같다.
초등 3학년 부터 6학년때 까지 과학시간에 배우는
부분이다.
이 책 한권만 잘 파악을 해둔다면,
과학시간에 똑똑 박사가 되어 있을것 같다.
이 책을 아이가 어릴때 만났다면 많은 도움을
받았을텐데
정말 아쉬움이 큰 책이다.
아이가 벌써 훌쩍 커버렸으니 말이다;;;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물속 생물 이야기는..
연못과 공원, 계곡과 논, 바다 등지에서 만나는
놀랍고 신기한 물속 생물의 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

아빠와 함께 동식물 탐사를 떠나는 또래 친구 건우를
통해서
책을 읽는 아이들은 대리 체험을 하는 기분이 들것
같다.
이 책과 함께 아빠들이,
똑같이 아이들에게 체험을 시켜준다면,
책의 100% 활용을 할 수 있을것 같은데..
많은 아빠들이 바쁘기에 책으로라도 물속 생물 이야기를
배워나가야 할것 같다.

장구 치듯 숨을 쉬는 장구애비, 높이뛰기 선수
개구리,
일곱 번 색을 바꾸는 칠면초, 최고의 비행사 왕잠자리
등
물속 세상에 친구들을 모두 만날 수 있다.
물속 생물을 만나고 오면, 관찰일지를 작성을 한다.
책 속의 건우를 보고 배운 우리 아이들도 방학을 이용해서
관찰일지를 스스로 만들어 볼 수도 있을것 같다.
과학의 달에 탐구대회때도 관찰일지의 덕을 많이 볼 수 있으니 참 좋은 것
같다.


탐구활동을 한 후에는 관찰일지 뿐만 아니라,
물속 생물 도감을 만들어서 정리를 해둔다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나만의 자료가 될 수 있다.
관찰한 물속 생물의 사진을 찍고 이름의 유래,
특성,
환경과의 관계 등을 정리하여 기록하면 특별한 물속 생물 도감이 완성이
된다.
방학때 탐구과제물을 해야할때 이 방법으로 한다면 쉽게 만들 수
있다.


최고의 공부는 우리 아이들이 직접 현장에 나가서
오감으로 체험을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직접 체험을 하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테니 말이다.
책과 함께 아이들과 물속 생물을 관찰하러 나가면
우리 아이들이 정말 좋아할거라는 생각이 든다.
스마트폰을 하는 아이들의 손을 잡고,
책을 벗삼아 가까운 연못이나 시냇가에 가서
물속 생물 이야기를 들려준다면..
아이들은 두 눈 가득 반짝반짝 신기하다는 표정으로
신나게 탐구를 할테니,
상상만으로도 참 행복해진다.
사실, 난 내가 물속 생물에 대해서 지식이 별로
없어서..
아이에게 들려 줄 말이 없었던것 같다.
그 당시 이 책만 내 손에 있었어도 많은 이야기를 아이에게
들려 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운 마음이 크다.
책의 뒤에는 물속 생물들의 카드가 있어서..
아이들과 이름 맞추기 게임을 해도 재미있을것 같다.
놀이를 통한 공부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방법이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