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경 -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음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소설 왕경, 삼국통일직전, 이 땅에선 무슨 일이 벌어졌나!

예전부터 역사소설을 읽는걸 좋아하는데, 이번에 읽은 '왕경'은 그동안 읽었던 소설과는

다른 색다른 역사소설이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젊은 이들이 이 책의 주인공이었기 때문이다.

진수, 정, 김유는 각각 삼국을 대표하는 인물로 표현이 되고 있었다.

 


 

 

 

학창시절 역사를 배우면서 고구려, 백제, 신라중에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부분에서

나 또한 어떤 이유로 신라가 통일의 영광을 안게 됐는지 궁금했던 부분이다.

책속에선 공동체 정신인 화랑의 정신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었다.

 

고구려와 신라의 정세와 맞물려서 화랑의 정신이 빛을 발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연개소문, 의자왕, 김춘수..

그들의 이야기가 아닌, 진수, 정, 김유의 이야기를 통해서 삼국의 관계를 우리는 파악을 할 수 있다.

역사소설인듯 아닌듯한 경계가 왕경엔 존재를 하고 있었다.

 

 

 


 

 

삼국 중 가장 약소국이던 신라가 대통일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를 작가는

이 소설에서 말하고 싶었던것 같다.

사치와 음탕함이 넘쳐나는 왕경이었지만 고구려와 백제가 가지지 못한 무엇이 있었기에

삼국통일의 위엄을 달성했으니까..

 

"네가 부모를 택해 태어날 수 없듯이, 계림에 태어난 것도 네 선택은 아니었다.

왕경의 진골로 태어난 것, 화랑이 됐다는 것이 기쁨인 줄 아느냐?

천만에 슬픔이다.

네 몸과 혼은 네것이 아니라 계림을 위해, 이 위대한 신국을 위해

바쳐야 하기 때문이야."

 

이 부분을 읽는데, 정말 무시무시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의 삶이 아닌 화랑으로써 신국을 위해서 살아야 하는 그들의 아픔이 느껴졌다.

 


 


 

 

신라의 진골이자 화랑인 김유, 고구려 귀족에서 노비로 전략한 진수,

백제에서 온 비밀스러운 소녀 정.

 

세 사람은 저마다의 사연을 지닌 채 신라의 수도 왕경에서 운명처럼 얽힌다.

그들은 거병을 앞둔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제 나라의 명운 앞에 번뇌하고,

문득 찾아온 낯선 감정 앞에 망설인다.

 

손에 잡히시는 않지만 분명히 있을 것 같은 행복..

"살고 싶고 사랑하고 싶다."

 

 

 

 

 

 

"역사가 없는 나라와 백성은 아무것도 아니다.

적군에게 짓밟히고 약탈당해도 역사가 남으면 영원히 살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이 글을 읽을때는 정말 깊은 감동을 느끼게 됐다.

특히나 일제 강점기를 보냈던 우리 민족이기에 역사를 지키는건 무엇보다 소중한 소명이 될것이다.

역사 왜곡을 하는 일본을 생각하면 더욱더 우리의 역사를 지켜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역사소설을 읽는 이유중에 하나는 이렇게 다신금 현재에 살고 있는 우리의 정체성을 되새기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일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