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발명왕 11 - 아이디어 응용하기 내일은 발명왕 11
곰돌이 co. 글, 홍종현 그림, 박완규.황성재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이 카메라 만들기 발명키트,내일은 발명왕!!

 

볼록 렌즈의 원리를 이용한 간이 카메라 만들기를 해봤어요.

매번 발명키트는 아이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최고의 선물이 됩니다.

 

 

 

 

 

 


 

 

간이 카메라 만들기 발명키트는 돋보기를 이용한 카메라로 빛의 굴절과 카메라의 원리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실험을 함께 할 수 있습니다.

간이 카메라를 만든다는 생각에 아이의 호기심은 더욱 커집니다.

 

발명키트를 만들때는 내일은 발명왕에 있는 내용을 잘 확인을 하고 만들어야 합니다.

 

 

 

 

 

 

 

 

볼록 렌즈를 끼워 간단하게 만든 간이 카메라는 사진기의 원리를 쉽게 보여줍니다.

필름이 없어서 진짜 카메라처럼 사진을 찍을 수는 없지만, 필름 대신 기름종이에 맺힌 상을

맨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볼록렌즈는 물체에서 반사된 빛을 기름종이에 모아 상이 맺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렌즈가 크면 클수록 더 많은 빛을 모으게 되어, 기름종이에 맺히는 상도 밝아집니다.

 

 

 

 

 

 



열심히 카메라를 만들어야 찍을 수 있으니..

후다닥 만들고 있어요!! 

 

 

 

 

 

 

 

 

 

돋보기까지 장착을 하면 간이 카메라 만들기는 완성입니다.

 

 

 

 

 

 

 

 

빨리 실험을 해보고 싶은 마음에 거실 형광등을 찍어 봅니다.

 

 

 

 

 

 

 

 

저녁시간에 집앞에서 간이 카메라로 꽃을 찍겠다고 보는데..

안보인데요~~

왜일까요???

 

간이 카메라는 햇빛이 강한 낮에 야외에서 멀리 있는 사물을 향하면 잘 보이기 때문이에요.

 

 

 
 

 

 

 

햇빛이 쨍쨍나는 오후에 실험을 해야 하는데..

저희는 해가 저물어 가는 시간에 실험을 하게 됐어요.

햇빛이 강하면 더욱 상이 선명하게 나온답니다.

 

그래서 오늘 다시 할려고 했는데, 비가 와요ㅠ.ㅠ

 

 

 

 

 

 

 

아파트 옥상쪽을 찍어봤어요.

보이시나요?

상이 상하좌우가 바뀌어 보입니다.

 

사물의 상하좌우가 바뀌어 보이는 것은 빛이 볼록 렌즈를 통과할 때

사물의 위쪽에서 통과된 빛은 기름종이의 아래쪽에,

사물의 아래쪽에서 통과한 빛은 기름 종이의 위쪽에 맺히기 때문이에요.

 

간이 카메라에 맺힌 상에서 어두운 부분이 아파트 건물이구요~

밝은 부분이 하늘이에요~

 

 

 

 

 

 

 

 

내일은 발명왕 발명키트 만들기 어떠세요~

재밌는 책도 읽고 간이 카메라도 만들어 보고..~

 

과학적 원리를 실험을 통해서 아이들 스스로 배워나갈 수 있습니다.

 

 

 

 

 

 

 

 

햇빛이 쨍쨍 비치는 오후에 집앞에 있는 공원에 나가서 동네 아이들과 함께

사진찍기 놀이를 해봐야겠어요.

 

많은 아이들과 공유하고 싶은 과학 실험이니까요.

간이 카메라 만들기 아주 재밌다고 하네요~~cony_special-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