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썸, 식물을 키우는 손 - 창가 제라늄 화분에서 마당의 살구나무까지 일상으로 정원을 들이는 법
주례민 지음 / 위고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린썸, 정원가꾸기 꿈을 키워요!! 

 

 

 

 

 

 

 

그린썸(Green Thumb)이라는 말의 뜻을 찾아보니까, 원예의 재능이라고 하네요.

제게 없는 재능이 바로 그린썸일듯 해요.

 

하지만 이 책에서 표현한 그린썸은 엄지에 초록색 물이 든걸 뜻하는것 같아요.

자기일에 최선을 다 한 사람만이 갖을 수 있는 영광의 표시가 있을 텐데,

정원을 가꾸기를 하는 가드너에게 그린썸은 최고의 영광의 표시가 된다고 하네요.

아마 명예로운 훈장과도 같은 그린썸이 될것 같아요.

 

 

 

 

 

 

 

 

이 책의 작가는 대학에서 원예를 전공을 하고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다고 하네요.

서튼플레이스 가든에서 정원사로 첫발을 내딛으면서 손에 풀물이 들어 초록이 될때까지

일해보겠노라고 다짐을 했데요.

조경회사에 근무하면서 국내외 다수의 현장설계 및 조경설계에 참여를 하고

식물과 사람의 온기가 가득한 온실을 꿈꾸며 작업실 '오랑쥬리'를 열었다고 합니다.

 

책속에 담겨진 이야기를 읽고 있으면 작가가 어떤 마음을 갖고 이일을 해나가고 있는지

마음속 깊이 느낄 수 있었어요.

 

 

 

 

 

 

 

 

정원 가드너, 정원사에 대한 직업을 눈여겨 봤던적이 있었는데,

바로 드라마 <사랑비>를 통해서였어요.

드라마를 보면서 식물을 가꾸면서 일생을 살아가도 참으로 행복할것 같은 생각이 들었거든요.

아웅다웅 사람들과 살아가는것보다, 순수함 가득한 식물들과의 생활이

부럽게 다가왔던 드라마였어요.

 

그런데, 바로 이책의 작가도 그런 삶을 영유하고 있다고 하니,

책을 읽으면서 저는 다시금 부러운 마음이 들었어요.

나도 일찌기 정원가꾸기 공부를 할걸!!

그래서 가드너로 살면 어땠을까?

원래 남의 것이 더 좋아보이는 심리가 작용을 하는것 같아요.

 

 

 

 

 

 

 

식물 기르기를 전혀 못하는 제게는 꿈과 같은 정원가꾸기가 될것 같아요.

저도 남들처럼 식물을 잘 기르고 싶은데, 제손에만 오면 어찌된게 모두 시들시들 해지네요.

결국은 부모님께 보내기를 수십번을 한것 같아요.

마음속엔 저도 잘해보고 싶은 로망을 안고 살지만요;;

 

도시에서 자라서 도시에 살고 있기 때문인지, 손으로 흙을 만지는것 자체가

두렵게 다가오는것 같아요.

전에 살던 집에는 공터가 있었는데, 저보다 나이가 어렸던 옆집 사람들이 그 공터에

호박, 고추, 깻잎, 상추등을 심어서 기르는 모습을 보면서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분들은 땅에 씨만 뿌리면 누구나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제 입장에선 너무나 어려운 일이에요.


아마 처음하는 일에 대한 두려운 마음이 들어서 그럴거에요.

마음속에서는 저도 텃밭을 가꾸고 싶은 마음이 늘 있지만, 엄두가 나지를 않아요.

 

 

 

 

 

 

 

 

창가 제라늄 화분에서 마당의 살구나무까지 일상으로 정원을 들이는 법이

책속엔 자세하게 경험을 바탕으로 나오고 있어요.

 

정원일에서 스몰가드닝까지, 흙을 만지는 삶의 특별함을 보면서

저는 잠시나마 마음에 힐링이 되는 책이었어요.

예쁜 꽃도 보고, 멋진 영국식 정원의 모습을 보면서 저도 손에 흙을 묻히고 싶은 생각이 드네요.

 

 

 

 

 

 

 

 

어릴적 저희 외할머니네 집엔 지금 생각해도 정말 멋진 정원이 있었어요.

담장엔 장미 덩굴이 펼쳐져 있었고, 국화, 카라를 비롯해 꽃들이 무성한 정원이었어요.

특히 대문을 열면 포도 넝굴이 저희를 맞아 주었어요.

해마다 여름이면 포도가 열렸는데, 크기는 아주 작았지만, 해마다 만나는 포도는

친구와도 같은 존재가 되었어요.

 

또 할머니는 나무에도 관심이 많아서 어렸던 저를 데리고 나무를 사러 수목원에 데려가셨어요.

그때 구입한 나무가 목련이었어요.

목련을 정원에 심었을때 느꼈던 벅차오르던 감동은 지금도 생생히 기억이 되요.

 

서울에 살았지만, 그당시엔 마당이 있어서 어렸던 제게 정원에 대한 예쁜 기억을 갖게 해주신

할머니가 책을 읽는 내내 생각이 났어요.

 

 


 

 

 

 

 

예쁘게 가꿔진 정원의 모습을 보는 건 최고의 행복이 될것 같아요.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듯, 마당의 정원에다 그리는 그림은 또다른 멋진 풍경이 될것 같아요.

모두가 같은 정원의 모습을 만드는게 아니라, 각자의 스타일에 맞게 멋진 정원을 만드는

방법이 책속에 담겨져 있답니다.

 

정원을 만드는 일이 많이 어려울줄 알았는데, 책속에 담겨진 내용대로 하면 초보자도 쉽게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누구나 자연과 벗삼아 살아가고 싶지만, 주어진 현실에선 그게 맘처럼 되지가 않지요.

 

 

 

 

 

 

 

책의 마지막 부분을 읽다보니까 '게릴라 가드너' 이야기가 나왔어요.

집앞 근처에 공터가 있으면 아마 그곳엔 쓰레기들이 넘쳐나는 공간이 되고 있어요.

늘 저희가 보고 지나치는 공간들이기에 안봐도 본것 같아요.

 

저희 동네도 이런 쓰레기를 정리를 하고 그 공간에 예쁜 꽃을 심는 분들이 계신데,

정원가꾸기의 그림썸의 작가님네 이웃님들도 게릴라 가드닝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많은 봉사자들이 있는데, 이렇게 게릴라 가드닝 봉사자들이 많아지면 내집 앞이, 우리 동네가,

더불어 우리나라가 꽃과 함께 향기로움이 가득한 행복한 나라로 거듭나리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많은 분들이 노년에 나이가 들면 안락한 시골에서 살기를 희망한다고 해요.

그림썸의 작가님도 나이가 들어서 노년이 되면 신랑과 함께 멋진 정원을 가꾸며,

정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대접할 수 있는 삶을 꿈꾼다고 하네요.

 

저희 신랑도 노년에 시골에 내려가서 낚시를 하면서 유유자적 살겠다는 이야기를 해요.

그럼, 저는 늘 '혼자가서 살아~' 라는 말을 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제 생각에 변화가 찾아 왔어요.

신랑과 함께 내려가서 신랑은 낚시를 하고,

저는 삶의 위안을 받을 수 있는 정원가꾸기를 해볼까 합니다.

 

책을 통해서 자신감이 급상승 하고 있는중이에요!

제 손이 정원가꾸기의 마이다스의 손이 되길 희망해 보면서 그린썸,

식물을 키우는 손을 마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